![]() |
![]() |
별난 섬이다. 섬을 몇 바퀴 돌아도 강아지 한 마리 만날 수 없다. 닭이나 병아리도 보이지 않는다. 어디에나 지천인 무덤도 전혀 없다. “예부터 내려오는 당제와 연관됩니다. 섬이 다 그렇지만, 쑥섬사람들은 전통에 대한 믿음이 강했어요. 당제를 지내러 가다가 돌부리에 걸려 넘어지기라도 하면, 되돌아와서 목욕재계를 했어요. 개와 닭의 울음소리도 신성한 제사에 방해가 된다고 기르지 않은 겁니다.” ‘쑥섬지기’ 김상현 씨의 말이다. 마을 뒤편 당산에도 아무 때나, 아무나 들어가지 못하게 했다는 것이다. 섬에 무덤이 없는 것도 매...
2023.05.25 13:57큰 기둥이 하나 보인다. 언뜻 굴뚝 같은데, 굴뚝치고는 너무 굵다. 첨성대 같다. 많은 양의 곡물이나 시멘트를 저장하는 사일로(silo) 같기도 하다. 둥근 구조물의 왼쪽과 오른쪽의 모양도 똑같다. 호기심을 자극한다. 가까이 가서 보니 굴뚝도, 첨성대도 아니다. 급수탑이다. 우리나라의 철도 역사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 시설이다. 오래 전, 증기기관차가 달릴 때다. 증기를 동력으로 쓰는 열차는, 물이 떨어지면 멈출 수밖에 없다. 하여, 적당한 거리를 두고 물을 공급하는 시설을 뒀다. 기관차가 역으로 들어오면 한쪽에선 삽...
2023.05.11 10:50이팝나무꽃이 피고 있다. 연둣빛 이파리 사이로 피어난 꽃이 순백색이다. 얼마나 순결하고 아름다운지 한동안 눈을 떼지 못했다. 봄날의 신록을 본 수필가 피천득은 ‘금방 찬물로 세수를 한 스물한살 청신한 얼굴’이라고 했다. 남도에는 ‘명물’ 이팝나무가 많다. 순천 평지마을에 수령 400년 된 이팝나무가 있다. 1962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광양 유당공원의 이팝나무도 천연기념물이다. 순천 평촌리에도 400살 된 이팝나무가 있다. 장흥 용곡리에는 수령 370년 된 나무가 있다. 해남 맹진리엔 수령 300년 된 이팝나무가 있다. ...
2023.04.27 14:49아름드리 느티나무가 앞서 반긴다. 수백 살은 들어 보인다. 나무 그늘엔 모정이 들어앉아 있다. 오괴정(五槐亭)이다. 다섯 그루의 느티나무 아래 정자다. 살랑이는 봄바람을 만끽하기에 좋다. 여름날엔 무더위를 식혀주는 쉼터로 맞춤이다. 농사일에 지친 사람들이 잠시 쉬는 공간이기도 하다. “느티나무 다섯 그루가 있었다고 합니다. 지금은 사라지고, 두 그루밖에 남지 않았지만. 저 어렸을 때만 해도, 이 나무 아래에 상을 차리고 제사를 지냈어요. 마을사람들이 모여서 당산제를 지내고, 건강과 행복을 빌었습니다. 그때가 좋았어요. 맛있는 ...
2023.04.13 14:37목포에 양동(陽洞)이 있다. 서양사람들이 들어와 살면서 ‘양리’ ‘양동’으로 불렸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목포부 양동이 됐다. 2007년에 대성동과 목원동으로 나뉘었다. 목포시의 여러 법정동(法定洞) 가운데 하나다. 양동의 상징이 양동교회다. 선교사 유진벨이 1897년에 세웠다. 반도의 끄트머리에 자리한 목포는 뭍과 섬을 오가며 선교활동을 하기에 좋았다. 때맞춰 목포항도 열렸다. 교회는 양동의 언덕에 천막을 치고 시작됐다. 목포는 물론 전남 개신교의 시작이었다. 자연스레 개신교 선교의 근거지가 됐다. 양동교회는...
2023.03.30 15:54빈 수레가 요란하고, 속에 든 것 없는 사람이 거드름을 부린다. 아는 것 많은 사람은 결코 남 앞에서 자랑하거나 허세를 부리지 않는다. 속이 꽉 찬 사람은 부러 자신을 드러내지 않아도 어디서나 빛이 나는 법이다. 지역도 매한가지다. 인지상정이다. 장흥 만수마을은 속이 꽉 찬 마을이다. 그럴싸하게 포장해서 알려진 마을이 아니다. 70년 가까이 안중근 의사를 모시는 제사를 지내면서 결코 요란을 떨지 않았다. 알아달라고 티를 내지도 않았다. 내 식구 밥그릇도 챙기기 버거운 시절부터 지금껏 말 한마디 없이 해왔다. 소리?소문 없이 우...
2023.03.16 17:26말이 많은 세상이다. 내뱉는 말도 거칠고 격하다. 행동은 따르지 않는다. 말과 행동이 다르다고 지적해도 ‘모르쇠’로 일관한다. 요즘 정치인과 일부 지식인들을 두고 하는 말이다. 매천 황현(1855∼1910)이 떠오르는 이유다. 황현은 매사에 진지하고 엄격했다. 현실을 직시하고 풍자한 문장가로, 시대를 생생하고 정확하게 기록한 역사가로 살았다. 평생 벼슬을 하지 않고 초야의 선비로 살면서도 자신이 옳다고 생각한 대로 행동했다. 말과 행동에 대해서도 책임을 졌다. 일제에 의해 나라가 망하자, 선비의 자존심을 지키며 목숨을 ...
2023.03.02 15:12타임머신을 타고 선사시대의 흔적을 찾아간다. 화순군 춘양면 대신리 지동마을이다. 지동마을은 만지산과 조봉산, 안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10여 가구 30여 명이 살고 있는 산골이다. 주민들은 대부분 농사를 짓는다. 마을 주변에 지동제 등 큰 저수지가 있어 물 걱정도 없다. 아주 오랜 옛날, 마을 앞에 큰 연못이 있었다고 전한다. 한자로 연못 지(池)를 써서 ‘지동(池洞)’이다. “괸돌바위 앞에 연못이 있었다고 합니다. 사람들은 연못에서 물놀이를 하고, 괸돌바위에 앉아 낚시질도 즐겼겠죠. 연못이 있는 마을이라고 ‘못골’로...
2023.02.16 11:17학창시절 방학 때면, 가장 큰 숙제가 일기쓰기였다. 일기(日記)는 그날 겪은 일이나 생각, 느낌을 날마다 적어야 한다. 하지만 방학숙제였던 일기는 개학을 앞두고 한꺼번에 쓰기 일쑤였다. 문제는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기억나지 않는 지난날의 날씨가 가장 큰 걸림돌이었다. 심지어 한 달 전의 날씨도 기억을 더듬어야 했다. 내용도 문제였다. 날마다 자고 일어나서, 먹고, 놀고, 다시 자는 거 외엔 특별히 기억나는 게 없었다. ‘재밌는 하루였다’ ‘어제보다 더 재밌는 하루였다’는 말이 되풀이됐다. 선생님의 검사가 기다리고 있는 것도...
2023.02.02 13:27무등산은 남도사람들의 정신적인 지표다. 등급이 없는 무등(無等)은 민주주의 정신에 비유된다. 나라가 위태로울 때 분연히 일어섰던 호남의병들의 흔적도 곳곳에 배어 있다. 무등산이 품은 입석대와 서석대, 규봉은 바위 예술품이다. 오랜 세월 풍화작용에 의해 만들어졌다. 경관이 수려하고, 학술적인 가치가 높다. 역사문화 유적도 많이 간직하고 있다. 2013년에 국립공원, 2014년엔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됐다. 2018년 4월에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됐다. 무등산의 허리춤을 따라가는 둘레길이 ‘무돌길’이다. 무등산의 옛...
2023.01.19 17:16온정과 나눔, 배려가 필요한 겨울에 더욱 빛나는 마을이 있다. 우리에게 가진 자의 도리를 일깨우는 표상이 된 곳이다. 옛집 운조루(雲鳥樓)가 있는 구례군 토지면 오미마을이다. 운조루의 안채를 다 뜯어내고 다시 짓는 공사를 하고 있지만, 그래도 연말연시에 꼭 가봐야 할 곳이다. “그동안 조금씩 기운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그대로 뒀다가는 붕괴 위험까지 있다고 해서, 해체하고 다시 짓고 있습니다. 기존의 건축재료도 최대한 다시 써서, 옛 모습을 살리기로 했어요. 복원 공사는 7∼8월까지 끝낸다고 합니다.” 곽영숙 씨의 말이다...
2022.12.29 16:0113번 국도를 타고 '땅끝' 해남으로 가는 길, 태극기가 바람에 펄럭인다. 대형 무궁화 조형물도 보인다. 지난 여름부터 가을까지 무궁화로 꽃천지를 이뤘던 곳이다. 도로변에 '덕촌 양득중의 실사구시 마을'과 함께 '지강 양한묵 생가'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해남 영신마을이다. 양득중과 양한묵은 의로운 길을 걸었다. 200여 년의 시간 차이를 두고 양득중은 실사구시를, 양한묵은 인내천을 주창했다. 성리학을 이념으로 한 사회에 반기를 든 인물이었다. 덕촌 양득중(1665∼1742)은 조선 중후기에 실학을 불러들이고, 정치의 한가운데로 ...
편집에디터2022.12.15 15:28왕버들나무가 있다. 수령 400년은 거뜬히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어른 서너 명이 두 팔을 벌려야 닿을 듯한, 나무의 우람한 기둥에서 세월의 더께가 묻어난다. 눈과 비바람은 얼마나 맞았고, 햇볕은 얼마나 받았을지, 천둥소리와 번개는 또 얼마나 듣고 맞았을지…. 세월이 빚어낸 주름이 큰 물결처럼 나무에 새겨져 있다. 풍수지리로 볼 때 비보림(裨補林)이다. 지형의 약점을 보완했다. 자연유산인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다. 충효마을의 왕버들은 본디 다섯 그루였다고 전해진다. 소나무와 매실나무도 한 그루씩 있었단다. 1송 1매 5류로, 마...
편집에디터2022.12.01 17:14상구마을의 한낮 풍경. 상구마을은 전형적인 농촌이다. 이돈삼 가로수로 심어진 나무의 빨강 열매가 유난히 빛난다. 먼나무, 이나무, 호랑가시 등 감탕나무에 속하는 열매들이다. 울타리로 심어놓은 남천도 있다. 자연스레 '사랑의 열매'가 떠오른다. 호랑가시나무를 찾아간다. 목적지는 나주시 공산면 상구마을이다. 상구마을의 호랑가시나무는 별나게 생겼다. 한쪽은 열매가 무성하게 달리는데, 다른 쪽은 열매를 맺지 않는다. 두 얼굴의 나무다. 올해는 유난히 열매가 더디 달리고 있다. "햇빛이 많이 비치고 안 비치고 차이도 아니고, 흙이 다른 것...
편집에디터2022.11.17 17:20공북리 2구 효대마을 풍경. 노거수와 어우러져 멋스럽다. 이돈삼 가을의 발걸음이 바빠졌다. 나뭇잎은 울긋불긋 단풍 들게 하고, 국화는 형형색색으로 꽃을 피웠다. 산과 들이 온통 가을빛으로 가득하다. 차를 타고 강변을 드라이브하는 즐거움이 배가된다. 산자락의 밭에서 감을 따는 풍경이 눈에 들어온다. 감나무에 감도 주렁주렁 걸렸다. 가지가 금방이라도 부러질 것만 같다. 보는 것만으로도 흐뭇하다. 정겹다. 빨갛게 물드는 감잎도 가을을 노래하고 있다. "감이 많이 달렸습니다. 때깔 좋고, 튼실해 보이는데요." "예, 올해 풍년입니다. 맛도 좋아요. 하나 드셔 보셔요. 약 안 했으니, 그냥 드셔도 돼요." 감 따던 농군이 길손의 말을 받아준다. 염치 생각하지 않고, 감 하나를 덥석 베어 물었다. 입안으로 만추가 전해진다. 맛있고, 달다. 감이 '종합비타민제'라는 말을 실감한다. 문득, ...
편집에디터2022.11.03 1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