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보상태 ‘전라도 천년 기념사업’ 해결 계기 마련해야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광주시
답보상태 ‘전라도 천년 기념사업’ 해결 계기 마련해야
4일 ‘호남권 정책협의회’ 개최
2017년 4000억대 공동사업 합의
예산부족·부지확보 난항 지지부진
‘천년사’ 식민사관 논란 배포 못해
  • 입력 : 2024. 07.01(월) 18:25
  • 노병하 기자 byeongha.no@jnilbo.com
광주시, 전남도, 전북도가 2018년 전라도 천년의 해를 맞아 공식 발표한 엠블럼과 슬로건. 광주시 제공
광주와 전남, 전북 등 호남권 3개 광역지자체 수장들이 7년만에 한자리에 모여 지역현안을 논의하기로 해 관심이 모아진다.

3개 시·도가 오는 4일 전북 정읍에서 열리는 ‘호남권 정책협의회’에서 메가시티 구축 등 호남권 공동발전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지역사회에서는 이번 만남을 통해 답보상태의 ‘전라도 천년 기념사업’과 식민사관 논란을 빚은 ‘전라도 천년사’ 발간 문제 등의 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3개 지자체는 “이번 정책협의회에서는 논의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빠르면 이달 안에 각 부시장, 부지사가 만나 구체적 상황을 논의할 것으로 보여 귀추가 주목된다.

1일 광주시·전남도·전북도에 따르면 ‘전라도 천년 기념사업’은 지난 2017년 3월 나주 중흥골드스파리조트에서 열린 정책협의회에서 제안됐다. 협의회에서는 당시 윤장현 광주시장과 이낙연 전남도지사, 송하진 전북도지사가 참석해 기념사업과 관련 7개 분야 30개 공동사업을 통해 호남권 협력·발전 방안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호남권 3개 광역지자체는 전라도 정도 천년을 맞은 지난 2018년부터 국비와 지방비 등 예산 4369억원을 들여 다양한 기념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먼저 ‘전라도의 가치’를 주제로 연중 방송 캠페인을 펼쳤으며 역사 재정립을 통한 지역민 자긍심 고취를 위해 2022년까지 ‘전라도 천년사’를 편찬키로 했다. 또 2018년을 ‘전라도 방문의 해’로 정하고, 첫 날인 1월 1일 광주에서 전라도 천년 맞이 타종식을 한데 이어, 4월 18일 장흥 정남진에서 천년 가로수길 조성 기념식을, 10월 18일 전북 전주에서 전라도 천년 기념식을 열었다.

이밖에 △전라도 천년 명품 특별전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천년의 꿈’ △광주시립창극단 특별공연 △전북도립미술관 전라 밀레니엄전 △전라도 미래천년 포럼 △전북도립국악원 ‘전라천년’ 특별공연을 개최했다.

이같은 이벤트성 사업은 순조롭게 진행됐으나 문화유산 복원 사업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실제 전남도가 주관하는 세부사업 12개 중 2022년까지 9개 사업이 완료됐지만 △나주목 관아 복원 △나주읍성권 재생 △전라도 천년 정원 조성 등 굵직한 사업들은 모두 멈춘 상태다. 부지·예산 확보, 정부 승인 문제에 발목이 잡혔기 때문이다.

천년 정원 조성 사업은 올해까지 465억원을 들여 나주시 일원에 72만1974㎡ 규모의 다양한 테마의 정원을 만든다는 계획이지만, 첫 단계인 예산과 부지확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전남도와 나주시가 사업비와 주요 추진 과제를 크게 줄였지만, 문화재 훼손을 우려한 문화재청 심의를 통과하지 못했다.

나주목 관아 복원의 경우 향청과 동헌터 복원 등이 주된 사업이지만, 2차 발굴까지 완료된 이후 국비 지원이 멈추면서 사실상 방치된 상태다. 2019년부터 시작된 나주읍성 재생사업도 성벽 부지 위 문화재 구역 지정 등의 문제로 지지부진한 상태다.

가장 큰 현안은 사업비 24억원이 투입된 대형 역사 기록 프로젝트인 ‘전라도 천년사’ 문제다.

천년사 제작사업은 전라도 정명 1000년을 맞아 2018~2022년 호남 3개 광역지자체가 각 8억원씩 총 24억원을 투입해 전북도·전북연구원의 주관으로 진행됐다.

제작 과정에서 애초 기획한 전라도 천년의 역사를 고대사를 포함한 오천년사로 확대하면서 5년에 걸쳐 34권에 달하는 역사서가 나왔다. 제목은 천년사지만 오천년사로도 불린다.

하지만 역사 기술에서 단군조선의 축소 또는 부인, 일본서기 사료 인용, 마한 멸망 시기, 식민사학 방법에 의한 지명 위치 추측 의혹 등으로 논란이 일었고, 이는 한국 전체 역사학계로 번졌다.

그 결과 천년사의 제작·인쇄는 이미 끝난 상태지만 폐기를 촉구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지역 정치권의 강력한 반발로 배포되지 못하고 있다. 이 천년사 배포 여부는 지난 5월 결정될 예정이었으나 3개 지역 부단체장의 일정이 맞지 않아 2개월 뒤인 7월로 연기된 상태다.
노병하 기자 byeongha.n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