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득권 정치세력 독식…청년정치·세대교체 실종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선거
기득권 정치세력 독식…청년정치·세대교체 실종
●광주·전남 청년후보에 들어본 ‘청년정치’
정준호 “경쟁력 갖춘 인재 성장 중요”
박은식 “정치적 촉법소년 벗어나야”
여찬 “청년 문제, 근본적 접근 필요”
  • 입력 : 2024. 03.27(수) 18:18
  • 곽지혜 기자 jihye.kwak@jnilbo.com
27일 부산선거관리위원회에서 직원들이 각 지역별로 제출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벽보를 확인하고 있다. 뉴시스
4·10 총선이 2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광주·전남지역은 물론 전국 선거판에서 ‘청년정치’와 ‘세대교체’ 담론이 사라졌다. 기득권이 공고하게 자리 잡은 국내 정치에서 청년들이 직접 당사자가 돼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고자 했던 노력이 활발해지기는커녕,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27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2대 국회의원 선거의 광주·전남지역 후보 72명의 평균 나이는 57.5세로 집계됐다. ‘일당독재’의 호남 정치권에서 세대별 다양화까지 사라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깊은 이유다.

광주·전남 지역구 출마자 중 각 정당에서 연령이 가장 낮은 후보들을 대상으로 ‘청년정치’에 대한 생각을 들어본 결과, 경쟁력 있는 인물을 키워내는데 더욱 집중해야 한다는 ‘발전론’과 기득권 세력의 정치권 독식이 여전히 청년정치를 가로막고 있다는 ‘비판론’ 등이 제기됐다. 일부 후보는 ‘청년정치’라는 단어 자체가 이제는 사라져야 할 시기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정준호 더불어민주당 광주 북구갑 후보
정준호(43) 더불어민주당 광주 북구갑 후보는 광주·전남지역의 청년정치야말로 정치적 경쟁력을 갖춘 청년들을 지속적으로 길러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후보는 “호남은 워낙 민주당 경선이 본선과 같이 치열한 지역 특성상 청년정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경선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젊은 정치인들을 길러내야 후속 주자들이 나올 수 있는 구조다”라며 “총선이 끝나더라도 지방의원 등 이미 지역 정계에 진출해 있는 청년들이 더 큰 장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의식 전환과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당선된다면 당 차원에서도 청년 정치인에 대한 육성을 통해 지역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등을 건의해 볼 생각이다”고 덧붙였다.

박은식 국민의힘 광주 동구남구을 후보
반면 박은식(39) 국민의힘 광주 동구남구을 후보는 ‘청년정치’라는 것이 어느 순간부터 ‘정치적 촉법소년’의 개념이 돼버렸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박 후보는 국민의힘 광주·전남지역 지역구 출마자 중 최연소 후보이지만, ‘청년정치인’이라는 프레임에 속하고 싶지 않다고도 강조했다.

박 후보는 “‘청년정치’라는 단어 자체가 사라져야 한다. 정치는 나이가 조금 어리다고 해서 조금 실수해도 괜찮고, 예의가 없어도 괜찮은 것이 아니다”라며 “그런데 청년정치가 어느 순간 이런 것들이 모두 허용되는, 아주 추상적이면서도 마치 ‘정치적 촉법소년’을 나타내는 단어가 돼버렸다”고 말했다.

박 후보는 이어 “물론 뜻있고 의지 있는 젊은 정치인들이 도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정당 차원에서도 일정 부분 지원은 필요하다”면서도 “지역을 살리기 위해서는 특정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정치인들이 배출되는 것이 중요하지, ‘청년’을 내세우며 ‘나를 뽑아주세요’라고 하는 정치는 사라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여찬 진보당 여수시을 후보
광주·전남 최연소 출마자로 이목을 끌었던 여찬(28) 진보당 여수시을 후보는 거대 양당 정치가 주를 이루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총선은 특히 ‘정권교체’가 주요 프레임으로 작용하며 ‘청년정치’에 대한 관심이 사라졌다고 분석했다.

여 후보는 “지난 21대 총선의 경우 박근혜 정권이 막을 내리면서 각 정당에서 청년 정치인들을 많이 물색하고 발굴할 수 있는 분위기도 조성됐고, 또 시대적 변화에 맞는 발언을 하는 젊은 정치인들이 이슈가 되면서 청년정치가 부각돼 왔다”면서 “하지만 이번 총선에서는 정권교체가 주요한 어젠다로 떠올랐고, 특히 지역에서는 이미 일당독재가 고착화돼 정당뿐 아니라 다양한 후보의 면면에도 관심이 없어지는 추세”라고 전했다.

여 후보는 “실제로 기성 정치인들은 청년들의 삶에 거의 관심이 없다. 선거철에만 공약으로 내세울 뿐이다”면서 “청년정치가 사라져서는 안되는 이유이고, 청년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곽지혜 기자 jihye.kwak@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