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등 정주 여건·주거환경 열악… 빈 상가 즐비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혁신도시
교육 등 정주 여건·주거환경 열악… 빈 상가 즐비
●나주 빛가람동 인구 왜 줄었나 ||교육·의료 등 인구대비 턱없이 부족||SRF·악취 등 주거환경 악화 주범 ||시·도 주도 균형발전특별TF 구성
  • 입력 : 2022. 07.20(수) 17:51
  • 김해나 기자
20일 나주 빛가람혁신도시 인근 상가에는 임대 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나건호 기자
노무현 정부시절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추진된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나주 혁신도시)가 인구 감소를 피하지 못했다. 혁신도시내 공공기관 이전이 완료됐지만 10년 남짓한 이전기간 동안 정주여건이 개선되지 않으면서 공공기관 직원들의 '나홀로 이주'와 인구 유출이 가속화됐다.

교육·의료 등을 비롯해 주거환경에 대한 혁신도시 내 빛가람동 주민들의 불만은 날로 커졌다.

당초 가족 동반 이주를 기대했지만 교육·의료 기관이 부족하다 보니 이전 공공기관 직원들은 '나홀로 이주'를 택했다. 이들 직원들이 주말이면 가족이 있는 수도권으로 떠나면서 빛가람동은 '유령도시'로 전락하기 일쑤다.

올해 3월 기준 유치원 6곳, 어린이집 50곳, 초등학교 4곳, 중학교 3곳, 고등학교 2곳이 있지만 주민들의 교육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공공기관 직원의 가족 동반 이주를 유도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특수목적고 신설이 추진됐으나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시민단체 등이 '특권 교육'이라며 반대해 무산됐다.

또 병(의)원은 36곳, 약국 12곳으로 빛가람동 주민 3만9000여명이 이용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빛가람동 내 상가 공실률이 70%에 달하는 점도 인구 유출을 부추기고 있다.

나주 혁신도시는 개발 면적의 4.4%가 상업 용지로 공급됐는데 다른 지역 혁신도시보다 2배 이상 많다. 부지를 빨리 매각하기 위해 지구단위 계획을 변경한 것이 주원인으로 분석된다. 목표 인구 5만명을 채우지 못한 상황에서 상업 부지만 비대해 공실률을 높이는 요인이 됐다.

이에 더해 SRF(고형폐기물연료) 열병합발전소 상업 가동, 주변 악취 문제 등은 주거 환경을 악화시키는 주범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지역난방공사는 나주시 등과 법적 다툼 끝에 SRF열병합발전소 가동에 나서고 있다. 난방공사는 나주시와 대법까지 가는 상고 끝에 승소해 발전소 정상 가동이 이뤄질 전망이다. 하지만 생활쓰레기를 원료로 하다보니 소각시 인체 유해 물질이 발생하지 않을까하는 빛가람동 주민들의 우려는 여전하다.

혁신도시 조성 전부터 빛가람동을 덮은 '악취'도 문제다.

지난 2015년 호혜원 내 돈사 악취로 민원이 제기됐다. 무려 7년 가까운 노력끝에 지난해 호혜원 이주로 악취 문제가 일단락되는 듯 했지만 혁신도시 반경 3㎞ 인근에는 여전히 축사와 퇴비 공장 등이 있다. 나주 봉황면에 위치한 퇴비 공장은 동물 사체와 가축 분뇨를 혼합·발효해 퇴비를 만든다. 그 과정에서 사체 썩은 냄새, 계분(닭의 변) 냄새 등이 섞여 악취를 내뿜는데, 봄이나 여름이 되면 냄새가 더 심해지는 상황이다.

빛가람동의 한 주민은 "사계절 내내 창문 한 번 제대로 못 연다. 특히 여름에는 에어컨과 공기청정기가 없으면 살 수 없는 수준이다"고 토로했다.

아울러 이전한 공공기관이 올해 정규직 채용 계획 규모를 전년 대비 축소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인구 유입 전망을 더 암울하게 하고 있다.

한국전력, 한전KPS, 한전KDN, 인터넷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농림식품기획평가원 등 7곳의 채용 계획이 확정됐다. 충원 인력은 총 1381명이다.

지난해 8개 기관이 1592명을 채용했던 것과 비교하면 211명(-13.3%)이 줄었다.

이민원 전국혁신도시포럼 대표(광주대 교수)는 "인구 감소는 신규 채용 등 혁신도시 내 공공기관 증원과 관련해 한계가 드러났고, 주변 농민들의 이주 수요도 없다는 뜻이다"며 "의료 등 정주 여건, 악취, SRF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혁신도시 내 거주를 망설일 뿐 아니라 이주에 대한 고민도 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나주 혁신도시가 아니라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다. 광주와 전남의 '연결고리'가 필요하다"며 "정부는 '책임 의식'을, 지자체는 '주인 의식'을 가지고 혁신도시를 바라봐야 한다. 정부에게 혁신도시 육성 의무를 주는 등 법을 개선하고, 시장·도지사가 혁신도시 균형발전특별TF를 구성해 혁신도시 발전 정책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해나 기자 mint@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