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이슈 124-4>"일자리·휴양·문화 등 통합정책 추진 주효"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일주이슈
일주이슈 124-4>"일자리·휴양·문화 등 통합정책 추진 주효"
●‘전국 성공모델’ 구례자연드림파크
인프라 확충 통해 인구유입 모색
지역 특성화 비즈니스 모델 발굴
  • 입력 : 2024. 06.09(일) 18:08
  • 오지현 기자 jihyun.oh@jnilbo.com
구례 자연드림파크 전경. 구례자연드림파크 홈페이지 캡처
‘구례자연드림파크’는 전국 농공단지 가운데 성공 모델로 손꼽힌다.

과자, 막걸리, 김치 등 제조공장 시설뿐만 아니라 펜션, 게스트하우스, 공방, 카페, 극장 및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등 휴양·주거·문화 시설이 함께 조성된 이곳은 국내 최초의 친환경 유기 식품 클러스터로, 지난 2014년 개장 이후 고용 창출, 인구 증가, 지역 농산물 판매 및 관광객 증가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해 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구례자연드림파크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로 기업과 인력을 농촌으로 유입하기 위한 여러 정책의 통합적 추진을 꼽았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일자리 뿐만 아니라 양질의 주거, 교육, 보건 및 문화 시설 등이 함께 들어서며 정주환경 및 인프라 개선에 따라 종사자들이 구례군으로 이주해 정착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이어 “‘친환경 유기 식품 클러스터’에 초점을 둔 구례군처럼 각 농촌 지역의 특성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단순히 특화도가 높다거나 양적으로 풍부한 지역 자원만을 관성적으로 활용하는 기존의 농촌산업 육성 전략이 아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정부는 소멸 위기에 놓인 농촌 활성화를 위해 ‘농촌형 기회발전특구’를 앞세워 소멸 고위험 지역의 입지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말까지 읍·면 단위로 세세하게 농촌 소멸 고위험 지역을 분류할 계획이다. 이 과정이 완료되면 소멸 고위험 해당 지역의 지자체 및 기업, 주민들이 나서 지구 지정 계획을 세우고 자율규제 방안을 마련하면 정부가 농지를 농업 외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입지 규제 완화 특례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전남도 또한 기존 농공단지 활성화를 위해 4개 핵심산업을 패키지화해 예산을 지원하는 등 주변 지역 활성화 시너지 창출에 나선다.

이를 위해 지난 4월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단지 환경조성사업인 농공단지 패키지지원사업에 보성 미력, 무안 일로, 강진 마량, 진도 고군 농공단지가 선정돼 국비 214억원을 확보했다.

김대인 전남도 투자유치과장은 “전남의 인구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청년 인구 유입이 필수적”이라며 “노후산단 정주 여건 개선 및 청년 친화적 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오지현 기자 jihyun.oh@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