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킥라니' 사고 줄어드나···정부 안전관리 강화 나서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킥라니' 사고 줄어드나···정부 안전관리 강화 나서
전동킥보드 사고로 작년 24명 사망
도로교통법 위반 적발 건수도 늘어
정부, 민관 협약으로 방안 마련
최고속도 25→20km 하향 조정
광주시, 환승 주차장 조성 추진
  • 입력 : 2024. 07.11(목) 18:31
  • 정상아 기자 sanga.jeong@jnilbo.com
지난 8일 광주 서구 쌍촌역 인근 자전거 주차장에 자전거와 공유형 전동킥보드가 뒤섞인 채 놓여 있다. 정상아 기자
전동킥보드(개인형 이동장치) 이용이 늘면서 관련 사고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들의 안전 주행 문화 조성과 사고 예방을 위한 관리체계 구축 및 규제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최고 속도 하향 조정 등의 안전 조치 강화 방안을 추진, 사고 예방에 나서기로 했다.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에 따르면 도로 위의 무법자, 일명 ‘킥라니(전동킥보드와 고라니 합성어)’로 불리며 도로 안전을 위협하는 전동킥보드 사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전동킥보드 사고 건수는 △2019년 447건에서 △2021년 1735건, △2022년 2386건 △2023년 2389건으로 매년 급격히 늘었다. 4년 만에 5배나 늘어난 것이다. 사망자도 2019년 8명, 2020년 10명, 2021년 19명 2022년 26명, 2023년 24명에 이른다.

광주에서도 지난 7일 광산구 승용교 도로 위에 쓰러져 있던 60대 대리운전 기사 A씨가 승용차에 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A씨는 사고 직후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끝내 숨졌다. A씨는 전동킥보드를 타고 승용교를 건너다 넘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승용차 운전자 B씨는 “주변이 어두워서 A씨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진술했다.

당시 B씨는 무면허나 음주는 아닌 것으로 확인됐으며, 경찰은 B씨를 상대로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전동킥보드는 도로교통법에 따라 자전거 도로 주행이 원칙이나 자전거 도로가 없는 경우는 차도 우측 차선으로 통행할 수 있다. 하지만 유동 인구가 많고 자전거 도로가 마련되지 않은 도심에서는 인도와 차도를 경계 없이 누비는 경우가 많아 시민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어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대학생 노윤아(21)씨는 “전동킥보드가 길가에 마구잡이로 방치되면서 못 보고 지나가다 부딪혀 다친 적도 많다”며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건 알겠지만 반납 관리가 미흡하다”고 토로했다.

직장인 박서연(31)씨는 “운전하다 보면 전동킥보드가 갑자기 튀어나와 깜짝 놀랄 때가 많다”며 “안전장치도 없이 두세 명이 동시에 타는 모습을 보면 넘어질까 봐 위험해 보인다”고 말했다.

전동킥보드는 무면허인 청소년 이용자가 많고, 안전모 착용 등 안전 수칙을 지키지 않는 운전자가 많아 안전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광주경찰청에 따르면 전동킥보드 단속 건수는 2022년 8224건, 2023년 9112건, 올해는 6월까지만 해도 9970건이 적발됐다.

종류별로 살펴보면 △안전모 미착용 △무면허 △음주 △정원 초과 등 순으로 적발 건수가 높았다.

전동킥보드로 인한 사고가 계속해서 발생하자 정부는 안전 강화 조치를 결정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8일 국토교통부·경찰청·도로교통공단·한국교통안전공단·개인형 이동장치 대여업체 10곳·안전문화운동추진중앙협의회와 함께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협약에 따라 업체들은 자사의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의 최고 속도를 기존 25㎞에서 20㎞로 하향 조정한다.

안전모 미착용, 무면허 운전, 주행 도로 위반, 2인 이상 탑승 등에 대한 집중단속도 이뤄진다. 2주간 계도ㆍ홍보 기간을 거쳐 8월부터 2개월간 집중단속이 진행된다.

아울러 개인형 이동장치의 주 이용층인 10·20대에 대한 교육도 강화한다.

하지만 이번 협약에서 전동킥보드 무단 방치와 관련 대책이 제외되면서 통행 불편 해결과 안전을 위한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이에 광주시는 전동킥보드 전용 주차장을 조성하고 안전관리를 강화한다는 입장이다.

광주시 교통운영과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전동킥보드 환승 주차장을 조성해 현재 서구 10곳, 북구 50곳 등 총 60곳이 마련됐다”며 “자리 선정 등 절차상 이유로 어려움이 있는 건 사실이나 지자체와 협의해 추가로 환승 주차장을 조성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정상아 기자 sanga.je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