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특단의 대책 필요한 위기의 지역건설업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설
사설>특단의 대책 필요한 위기의 지역건설업
자금난에 법정관리 잇따라
  • 입력 : 2024. 06.13(목) 17:21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로 지역 건설사가 최대의 위기에 처했다고 한다. 수주액은 급감한 반면, 고금리에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 등 공사 비용이 늘어나면서 자금난에 내몰린 지역 건설사들의 법정관리 신청도 잇따르고 있다. 건설산업은 특성상 어느 한 축이 무너지면 시장 전체를 위협한다. 시장경제에 미치는 악영향도 막대하다. 지역 건설산업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때다.

당장 지난 11일 국내 도급순위 127위인 광주·전남 중견건설사 남양건설㈜이 광주지법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앞서 지난 4월말 한국건설도 광주지법에 법인 회생절차 개시 신청을 냈다. 도급순위 99위인 한국건설은 2820억 원 상당의 부채를 감당하지 못해 법정관리 신청을 했다. 이 뿐이 아니다. 지난 2월에도 시공능력평가 순위 105위인 새천년종합건설이 서울회생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해광건설과 거송건설, 계원토건, 송학건설, 중원건설, 세움건설, 토담건설, 일군토건 등 지역 건설사들의 법정관리 신청도 줄을 잇고 있다.

지역건설사가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건설수주액이 급감한 반면 공사비가 올랐기 때문이다.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1분기 광주지역 건설수주액은 7587억 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69.8%나 줄었다. 전남지역은 토목공사 수주가 늘어 전년 동분기에 비해 22.9% 증가했지만, 이는 지난해 실적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로 분석됐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건설공사비지수 동향’도 지난 3월 154.85로, 2021년 3월과 비교해 역대 최대치인 22.8%가 올랐다.

지역경제에서 건설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다. 건설사가 쓰러지면 하도급 업체 연쇄 부도는 물론 지역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끼친다. 관계 당국은 신속한 조사 절차를 거쳐 회생 가능성이 없는 부실기업에 대해서는 하루빨리 구조조정에 착수하고, 일시적 위기를 겪는 건설사에 대해선 유동성 지원으로 회생의 기회를 마련해 줘야 한다. 세제 감면과 대출 완화 등의 지원대책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