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청년 사라진 전남 농공단지 이대론 안돼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설
사설>청년 사라진 전남 농공단지 이대론 안돼
차별화된 지원정책 마련해야
  • 입력 : 2024. 06.10(월) 17:34
농·어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도입된 농공단지가 제 역할을 못한다는 소식이다. 낡고 변화를 수용하지 못한 안일함 때문이다. 낡은 시설과 부족한 인프라를 가진 농공단지가 4차 산업혁명의 시대, 급변하는 산업 생태계를 따라갈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 지난 40여 년, 지역경제에 이바지해 왔던 농공단지의 현주소가 안타깝다.

(사)전남도농공단지협의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전국 농공단지는 모두 479곳이다. 이 가운데 전남에 위치한 농공단지는 70곳으로 전국의 14.6%, 입주기업도 1300개사에 이른다. 하지만 이들 가운데 298곳이 준공된 지 20년이 넘을 정도로 노후 돼 당초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전남에서 가장 오래된 함평 학교농공단지는 1984년 9월 지정된 이후 40년이 지났다. 관리 주체가 많다는 점도 문제다. 현재 농공단지를 관리·감독하는 곳은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모두 8개 부처에 이르지만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컨트롤타워는 전무한 실정이다.

고용 창출과 지역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농공단지는 전남의 경제를 지탱하는 중요한 축이다. 농공단지에서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고 발전될 경우 지역 사회와의 공유를 통해 더 넓은 범위의 산업 발전을 견인한다는 장점도 있다. 문제는 기반시설의 노후와 함께 청년층이 줄어 든다는 점이다. 편의시설이 부족하고 성장가능성마저 낮은 현실에서 청년층을 끌어들인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청년이 들어오지 않는 농공단지는 쇠락할 수밖에 없다. 농·어민의 소득증대를 위한 산업 유치라는 목적과 달리 소규모 제조업 중심의 집적단지로 운영되는 것도 한계다.

관계기관은 지역산업과 공동체를 결합시켜 지역과 농공단지별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농도인 전남에서 생산된 농·특산물을 가공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대책도 고민해야 한다. 낡은 농공단지를 청년이 일하고 싶은 환경으로 바꿔가려는 각 자치단체의 노력도 필요하다. 농공단지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지속가능한 전남의 미래가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