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 디지털 역사관 운영 '도마 위'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정치일반
광주시교육청, 디지털 역사관 운영 '도마 위'
2019년부터 45개 학교서 운영
이용자 없는데도 '만족도 높음'
매년 5억 투입…특정업체 독식
  • 입력 : 2024. 05.02(목) 18:06
  • 김은지 기자 eunji.kim@jnilbo.com
광주시교육청 전경
광주시교육청이 일선 학교에서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역사관’에 대한 실효성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최근 5년간 매년 5억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데도 이용자 수 파악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다 사업체 선정과 관련해서도 수수방관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광주시의회 교육문화위원회 소속 이귀순(더불어민주당, 광산구4)는 2일 열린 제1차 주가경정예산안 심사에서 “디지털 역사관 현장을 돌아보면 불이 꺼져있는 게 대다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교육청의 사업평가상 만족도는 높음으로 나왔다”며 “디지털 역사관이 구축된 학교를 방문할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5년째 운영 예산을 지속해서 투입하고 있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디지털 역사관’은 학교의 역사 자료를 디지털화해 보존하고 열람을 쉽게 하기 위해 콘텐츠와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광주시교육청은 지난 2019년부터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투입되는 예산은 총 2억6000만원 가량이다.

사업을 통해 2019년부터 초등학교 14개, 중학교 18개, 고등학교 13개 등 45개 학교가 1700만원씩을 지원받았으며 지난해부터는 2000만원씩을 지원받는 등 매년 약 5억원의 예산이 투입돼 왔다.

디지털 역사관은 개관 직후에는 학생들과 졸업생들이 찾아 ‘반짝 문전성시’를 이루기도 했지만 한달도 채 지나지 않아 방문자는 급격히 감소했으며, 일부 학교에서는 불이 꺼진채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광주시교육청은 해당 사업에 대한 사업평가 만족도를 ‘높음’으로 평가해 의문을 낳고 있다.

이에 대해 박철신 광주시교육청 정책국장은 “만족도라는 게 학생들의 사용 빈도수 여부와 지속적인 사용인지는 파악하기 어렵다”며 “다만 디지털 역사관이라는 특성이 지속적으로 새로운 학습을 유발하는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재방문 여부까지는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지난해 본예산 편성 직후에도 지적받았던 수의계약 문제도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광주시교육청 누리집에 공시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A 업체가 역사관 디스플레이어(600만원) 공사를 하고, B 업체가 역사 콘텐츠 제작(1400만원)을 하는 방식으로 짜 맞추듯 수의계약으로 따내 사업을 독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공시 자료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는 총 14곳의 학교 중 10곳이 A 업체와 수의계약을 맺었다. 콘텐츠 제작은 16곳 중 14곳이 B 업체와 계약했다. 각각의 계약에서의 계약금도 비슷하다. A 업체와의 계약건은 대체로 약 600만원, B 업체와의 계약건은 1400만원 수준이었다. 전체 금액으로 보면 8100여만원 중 약 6000만원(74%)을 A 업체가, 2억3200만원 중 2억원(86%)을 B 업체가 계약했다.

해당 업체들이 수의계약 과정에서 특혜를 받은 것 아니냐는 지적이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음에도 광주시교육청은 올해도 학교의 자율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업체 선정 과정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광주시교육청 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업체 선정의 경우 학교 고유 권한이고, 사업 특성상 학교마다 자료의 양과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자율성 보장을 우선적으로 하다보니 시교육청이 깊게 관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며 “지난해 문제를 지적받은 후 개선점을 찾고자 여러차례 검토했으나, 올해 진행되는 학교 수가 적은 데다가 사업비가 줄었기 때문에 사업체 선정 방식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김은지 기자 eunji.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