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주권전국회의 광주전남본부는 29일 광주광역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후위기, 에너지 전환, 식량안보, 지역불균형이라는 복합 위기를 통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기후에너지부는 실증 기반과 전략 거점이 결합된 장소에 설치돼야 한다”고 밝혔다. |
본부는 “기후·환경 정책은 단순한 행정 부처 설치가 아닌 실행과 실증이 가능한 지역에 기반해야 한다”며 “독일은 기후청을 본(Bonn)에, 스웨덴은 환경청을 수도 외곽 우메오(Umea)에, 노르웨이는 복수 중심도시 체계로 행정을 운영하는 것이 대표적 사례”라고 설명했다.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는 현재 한국전력공사, 전력거래소, 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 RE100 산업단지 등 에너지 관련 공공기관과 실증시설이 집적돼 있다. 전남 지역은 세계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단지 조성을 추진 중이며 육상·해상 풍력, 태양광, 수소, 바이오 등 다양한 재생에너지 자원이 결합된 국내 최대 에너지 생산기지로 평가된다. 광주는 AI 기반 디지털 행정, 스마트그리드, 에너지 ICT 등 디지털 에너지 정책의 실험지로 부각되고 있다.
본부는 광주·전남·전북이 전국 논 면적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는 식량안보의 핵심 지역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이들은 “기후와 에너지 정책은 지속 가능한 농업 기반 없이는 실현될 수 없다”며 “서남권은 기후·에너지·식량이라는 삼각 축을 통합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유일한 지역이다. 기후에너지부 유치는 지역이기주의가 아니라 국가 전략적 기능의 분산 배치”라고 주장했다.
이날 본부는 정부와 국회를 향해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에 기후에너지부 설치 △광주·전남·전북을 ‘에너지·농생명 메가시티’로 국가계획 반영 △수도권 일극 체제를 넘는 새로운 균형발전 전략 수립 등을 촉구했다.
본부는 “광주·전남 유치는 탄소중립, 에너지전환, 식량안보, 균형발전이라는 네 가지 국가 과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실천의 공간이 될 것”이라며 “지금이야말로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정성현 기자 sunghyun.ju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