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중고거래 플랫폼 사기 피해자 모임 톡방. SNS 캡처 |
29일 전라남도경찰청 등에 따르면, 보성 출신 피의자 A(25)씨는 명품 가방, 가전제품, 부동산, 차량 등 고가 품목을 중고거래 사이트에 등록한 뒤 돈만 가로채고 물품을 보내지 않아 사기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A씨 외에 다른 아이디를 사용한 공범은 12명으로 추정되고, 서울·부산·대전·평택경찰서 등도 관련 피해 접수에 따라 수사를 벌이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당근마켓, 중고나라, 트위터 등 온라인 플랫폼에 허위 매물을 올린 뒤, 구매자에게 위조된 신분증을 제시해 신뢰를 얻고 대포통장으로 돈을 송금받는 방식으로 사기를 벌였다.
피해자들은 10만원에서 최대 650만원까지 입금한 뒤, 곧바로 연락이 끊기는 수법으로 피해를 입었다.
수사가 지연되자 피해자들은 자발적으로 모임을 구성하고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피해자 단체 채팅방을 운영 중인 B(26)씨는 “저뿐만 아니라 피해자가 100명 가까이 늘어나자 더는 지켜볼 수만 없어 단체방을 만들게 됐다”며 “하루빨리 수사가 진척되기를 바란다”고 호소했다.
전문가들은 온라인을 통한 사기 범죄가 전국적, 국제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만큼, 전문 수사 인력과 대응 체계가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정세종 조선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사이버범죄는 고도의 추적 기술 등 전문 수사력이 요구되는 영역”이라며 “전국적으로 이러한 범죄가 증가하는 만큼, 경찰도 시민의 체감 수준에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경찰 관계자는 “피의자들은 수개월에 걸쳐 전국적으로 피해자를 물색하며 조직적으로 범행을 이어온 것으로 보고 있다”며 “조속히 검거할 수 있도록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유철 기자 yoocheol.je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