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폐지수거 어르신 죽음 내몬 '폭염'…대책 시급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건사고
광주 폐지수거 어르신 죽음 내몬 '폭염'…대책 시급
정의당, 폐지수집 1000명 추정
"혹서기 긴급 재난지원금 지급"
  • 입력 : 2023. 08.03(목) 17:46
  • 김해나 기자 haena.kim@jnilbo.com
폭염 속에 광주에서 폐지를 줍다 사망한 60대 여성의 사인이 온열질환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광주지역 폐지 줍는 어르신이 1000여명으로 추산돼 기후위기 속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원책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3일 광주시 보건당국에 따르면, 전날 오후 3시37분께 동구 소태동 주택 마당에서 A(67·여)씨가 쓰러진 채 발견됐다. A씨는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1시간여 만에 숨졌다.

A씨가 당일 오전 야외에서 폐지 수거 작업을 하고 귀가 직후 쓰러진 점 등을 미뤄 온열질환 사망자로 추정된다.

정의당은 폭염 속 하루 5000원가량을 벌기 위해 폐지를 줍는 어르신이 광주지역에만 1000여명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의당 광주시당은 광주시가 발표한 2017년 기준 폐지로 생계를 유지하는 어르신이 약 800명인 것을 감안해 추정치를 냈다. 광주시당은 혹서기 때 어르신들의 폐지 수집 행위를 중단하고 지원금을 지급하면 온열 사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시당은 “기록적인 폭염에도 생계를 위해 나온 어르신들은 폐지 5000원어치를 팔기 위해 목숨까지 희생하고 있다”며 “혹서기 한달만이라도 일을 강제로 쉬게 하고 긴급 재난지원금을 지급한다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재 광주에서 폐지 줍는 어르신을 최대 1000명으로 보고, 서울처럼 폭염경보 기간 중 폐지 수집 행위를 중단하고 10만원씩 지급한다면 1억원으로 안타까운 희생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19년 서울 중구는 온열질환 등에 무방비로 노출된 폐지 수집 어르신 보호를 위해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폐지 수집을 중단하면 최대 10만원을 지원한 바 있다.

정의당은 광주시 등의 자자체에 기후 위기에 맞춰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원책 마련을 촉구했다.

정의당 광주시당은 “지방자치단체는 재난안전법에서 중앙정부와 함께 재난 관리 업무의 의무가 있다”며 “광주시와 5개 자치구는 신속히 상황을 파악하고 적극적인 방재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시당은 “기후위기와 노동이 연결돼 있고, 기후위기가 사회적 약자에게 가장 위협적이라는 사실이 현실로 드러났다”며 “기록적인 폭염에 재난문자만 보내는 것은 무책임 행정이다. 현장의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달 25일부터 광주·전남에는 차례로 폭염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양 시·도에서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가 각각 1명씩 나왔다.
김해나 기자 haena.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