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00여개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노조’ 파업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전국 100여개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노조’ 파업
무리한 작업 방식 시정 요구
  • 입력 : 2024. 06.24(월) 14:08
  • 곽지혜 기자 jihye.kwak@jnilbo.com
서울 동대문구 한 주택재건축현장의 타워크레인 모습. 뉴시스
건설 현장 고층작업에서 필수적인 장비인 타워크레인을 설치·해제하는 노동자들이 24일부터 무기한 파업에 돌입한다. 이들은 안전을 위협하는 무리한 작업 방식 중단 등을 요구하고 있다.

24일 전국타워크레인설·해체노동조합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타워크레인을 하루 만에 설치하는 나라는 전세계에 없다”며 “타워크레인 사고가 일어날 때마다 대부분이 노동자의 작업 과실이나 실수로 발생한 사고라고 몰아가고 근본적 대책이 발표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는 “외국에서는 수십년동안 사망사건이 한 건도 없지만, 국내에서는 지난 2013년부터 41명의 타워크레인 설·해체 노동자들이 작업 중 사망했다”며 “그들은 타워크레인 1대 설치에 일주일에서 열흘까지 걸리지만, 우리는 1대 설치를 하루 만에 끝내야 하는 노동환경에 처해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타워크레인 임대사들이 장비 임대만 하게 돼있지만 도급에 해당하는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불법하도급을 맡아 운영하고 있다”며 “타워크레인 설치·해체는 원청과 당사자가 직접 계약해야 한다. 정부는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업계의 불법하도급 문제를 즉각 시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타워크레인 작업단가 현실화도 요청하고 있다. 앞서 노조 측은 올해 타워크레인 102개 업체와 임금 단체 교섭을 진행해 왔지만, 대화가 결렬된 바 있다. 총파업 찬반투표에서는 92.1%의 찬성표가 나왔다.

대형크레인 설치·해제에 근무하는 노동자들 중 95%는 노조 소속으로, 파업 시 신규 타워크레인 설치나 기존 타워크레인 해체가 불가능해 공사 현장의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편 고용노동부에 등록된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등록 업체 수는 지난 4월 기준 125개로 대형크레인 설치·해체 업체 수는 88개, 352명의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노동자들이 근무하고 있다.
곽지혜 기자 jihye.kwak@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