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정부 외교라인 핵심 인사인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이 11일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팀 사무실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
김 전 차장은 11일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해 약 7시간 동안 조사를 받고 귀가했다. 그는 진술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고 모든 질문에 성실히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차장은 2023년 7월 31일 외교안보 수석비서관 회의 당시 “윤 전 대통령이 채 상병 사건 보고를 받고 크게 화를 냈다”고 진술했다. 이는 그간 “격노는 없었다”던 국회 증언과는 180도 달라진 입장이다.
정민영 특검보는 “해당 회의의 실제 상황과, 이후 수사 결과 회수 과정에 김 전 차장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전반적으로 조사했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김 전 차장의 추가 소환 계획은 현재 없다고 밝혔다.
특검은 김 전 차장이 VIP 격노 상황을 목격하고, 대통령 뜻에 따라 수사 외압에 개입한 핵심 인물로 보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이 당시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지휘하겠느냐”고 강하게 반발한 뒤, 경찰 이첩이 보류되고 해병대 수사단 수사 방향이 틀어진 정황과 연결된다.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 사저를 압수수색해 휴대전화 1대를 확보했으며, 대통령 관저 짐이 보관된 경기 구리의 임대 창고도 함께 압수수색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에는 국방부, 국가안보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자택 등에 대한 강제 수사도 진행됐다.
특검은 향후 조태용 전 외교안보실장 등 당시 회의 참석자들을 추가 소환해 윤 전 대통령까지 겨냥한 수사를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성수 기자·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