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익위 "지방공공기관 임직원 성비위 징계시효 3년→10년" 권고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정치일반
권익위 "지방공공기관 임직원 성비위 징계시효 3년→10년" 권고
  • 입력 : 2024. 07.17(수) 16:25
  • 김선욱 기자 seonwook.kim@jnilbo.com
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국민권익위원회. 뉴시스
국민권익위원회는 17일 지방공공기관 임직원 성비위 징계 시효를 현행 3년에서 10년으로 늘릴 것을 정부에 권고했다.

권익위는 이날 ‘지방공공기관 성비위·음주운전 징계 누락 방지 방안’을 마련해 행정안전부와 지방자치단체에 권고했다고 밝혔다.

현행 법령상 공무원과 공공기관 임직원은 성비위 징계 시효가 10년인 반면, 대다수 지방공공기관은 징계 시효가 3년으로 짧다.

권익위가 조사한 291개 지방공공기관 중 248개 기관의 징계 시효가 3년이었다.

권익위는 “지나치게 짧은 징계 시효로 인해 소속기관에서 성비위 사실을 인지하고도 징계 시효 도과로 인해 징계처분하지 못한 사례도 확인됐다”고 밝혔다.

권익위는 지방공기업법 등 법령을 개정해 지방공공기관 임직원 성비위 징계 시효를 공무원과 같은 10년으로 연장하도록 정부에 권고했다.

권익위는 또 지방공공기관 임직원이 성비위나 음주운전 등으로 수사를 받아도 소속기관에 통보되지 않는 점도 지적하고 제도 개선을 권고했다.

공무원은 사건 성격과 무관하게 수사·조사 사실이 소속기관에 통보되는데, 지방공공기관 임직원의 경우에는 통보 대상이 직무와 관련된 사건으로 한정돼 성비위나 음주운전 등 단순 비위는 통보되지 않는다.

이에 권익위는 지자체가 지방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감사를 하거나 지방공공기관이 자체감사를 할 때 운전경력증명서를 확인하는 등 음주운전 자체 점검제도를 도입할 수 있도록 규정을 정비하도록 했다.

지방공공기관이란 지방공기업법과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법 등에 따른 지방공기업, 지방출자·출연기관 등을 말한다.

임직원 징계는 행정안전부 기준·지침에 따라 각 기관 자체 규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김선욱 기자 seonwook.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