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 나주 한 공장에서 인권 유린 피해를 당한 스리랑카 국적 A씨가 24일 나주 시청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여해 그간 받은 피해를 폭로했다. 이정준 기자 |
벽돌에 결박당하고, 지게차로 들어 올려지는 조롱을 당한 스리랑카 국적 노동자 A(31)씨의 영상이 공개되자 전국민들이 분노하고 있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나서 페이스북에 영상을 게재하고 “소수자, 약자에 대한 용납할 수 없는 폭력이자 명백한 인권유린”이라면서 “신분이 불안정하다는 점을 악용한 인권침해와 노동착취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용노동부 등 관계 부처에서 적극 대응하겠다”고 강하게 발언했다.
해당 사건은 지난 2월26일 전라남도 나주 한 벽돌생산 공장에서 발생했다.
당시 A씨는 지난해 12월 한국에 입국해 해당 공장에서 3개월 정도 밖에 되지 않았을 때였다.
이런 A씨를 상대로 50대 한국인 지게차 운전자 B씨가 ‘동료 스리랑카 국적 노동자들을 잘 가르쳐라’고 지시했으나 노동자들이 일을 잘못하자 A씨를 하얀 비닐로 벽돌에 묶어 화물차에 결박하고 지게차로 들어 올리면서 “잘못했냐”, “잘못했다고 해야지”라며 다그친 것이다. A씨는 공포와 수치심 속에 B씨가 시키는 대로 대답해야 했다.
![]() 광주전남이주노동자인권네트워크는 24일 오전 11시께 나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권유린을 규탄 했다. 이정준 기자 |
뒤늦게 사건을 접한 광주·전남 이주노동자인권네트워크는 24일 오전 11시께 나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상황에 대해 강력히 규탄에 나서며 진상규명과 제도개선을 촉구했다.
단체는 “ 함께 일하는 노동자를 동료가 아닌 기계처럼, 동물처럼 이주 노동자를 인식하는 문제가 이번 참상으로 드러난 것”이라며 “철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이뤄져야한다”고 성토했다.
이들은 또 “사업주의 방조 또는 책임여부 역시 조사돼야 하고 이번 사건을 일회성 사건이 아닌 이주노동자들이 겪는 고통과 구조적 문제점을 명확히 파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피해자는 오늘이 생일이지만 축하와 기쁨이 아닌 공포와 불안 속에서 하루를 보내고 있다”며 “이 사건은 이주노동자를 타자화하는 구조적 차별과 폭력의 문화가 만들어낸 결과”라고 지적했다.
A씨는 기자회견에서 “점심을 먹은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사건이 발생해 먹은 것을 다 토할 뻔했다. 괴롭힘 때문에 정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며 “하루 빨리 다른 곳에서 일자리를 찾고 싶다”고 전했다.
해당 공장에서는 A씨를 포함해 한국인 노동자와 스리랑카, 동티모르, 중국 등 이주노동자 총 20여 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A씨는 동료 근로자 등에게 수개월 동안 도움을 요청했고 연락이 닿은 전남이주노동자인권네트워크는 지난 15일 사진과 영상 등을 입수했다.
단체는 경찰에 사업장 등을 고발하고 진상조사와 책임자 처벌 등을 요구할 방침이다.
고용부는 노동권을 위협받는 사태가 발생한 점을 인지하고 해당 사업장에 대해 즉시 기획 감독에 착수하기로 했다.
A씨가 지게차에 매달리는 영상이 점차 확산돼 논란이 커지자 이재명 대통령도 강하게 비판했다.
이 대통령은 영상을 접한 후 “사회적 약자에 대한 야만적 인권침해를 철저히 엄단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에 관련 영상을 게재하고 “세계적 문화강국이자 민주주의 모범국가에서 벌어진 일이라고는 도저히 믿을 수 없다”며 “소수자, 약자에 대한 용납할 수 없는 폭력이자 명백한 인권유린”이라고 지적했다.
또 “힘없고 곤궁한 처지에 있는 이들을 대하는 태도가 사회의 품격을 보여주는 법”이라며 “신분이 불안정하다는 점을 악용한 인권침해와 노동착취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용노동부 등 관계 부처에서 적극 대응하겠다”고 약속했다.
나주=이정준 기자 jeongjune.lee@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