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윤창훈 교수(왼쪽)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임진섭 박사. 전남대학교 제공 |
윤창훈 전남대 교수팀이 꿈의 배터리라 불리는 전고체 전지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친환경 집전체를 개발했다. 잇단 전기차 폭발 사고로 불타지 않는 안전한 이차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나온 연구 결과여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전남대 윤창훈 교수(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교신저자)와 박세정 석사생(공동주저자)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임진섭 박사 연구팀 송영웅 박사과정생(공동주저자)과 함께 고체 전해질과 NCM 삼원계 활물질로 구성된 양극재에 신개념 3차원 집전체가 적용된 고성능 전고체 전지 개발에 성공했다.
전고체 전지는 배터리 출력이 낮고 고속 충전 시 충전 용량이 감소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어 전기차 주행 시 가속, 감속 성능이 떨어지고 동일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
연구팀은 3차원 입자 형태의 고체 활물질과 2차원 구조를 갖는 집전체 사이의 물리적 접촉이 힘든 전고체 배터리의 구조에 주목했다. 집전체와 접촉하지 않은 활물질은 전기 화학 반응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낮아 제 성능을 내지 못한다는 접근이다.
윤 교수는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기 화학 안정성이 뛰어나고 전자를 잘 이동시키는 20 나노미터 굵기의 셀룰로스-탄소나노선 복합소재로 구성된 3차원 다공성 구조물을 도입한 집전체를 개발했다”며 “이러한 미세 다공성 집전체는 전고체 배터리 활물질 입자를 그물처럼 감싸주어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켰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3차원 집전체는 기존 알루미늄 포일 위에 셀룰로스-탄소나노선 분산액을 1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코팅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기존 코팅 공정에 호환이 잘 되고 대면적 생산도 가능하다. 무엇보다 셀룰로스-탄소나노선 분산액은 물, 천연 펄프, 탄소나노선을 이용해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만든 소재이기 때문에, 환경 오염이나 인체 유해성 문제가 없다. 또한 기공성 구조이기 때문에 배터리의 무게나 부피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윤창훈 교수는 “근본적으로 고체 입자 형태의 활물질을 갖는 모든 전고체 배터리에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파급력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셀룰로스-탄소나노선 복합소재 기반 전고체 전지용 친환경 3차원 집전체의 동작 메커니즘. 전남대학교 제공 |
김은지 기자 eunji.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