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더 촘촘히 만들어야 할 농민 안전망 강화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설
사설>더 촘촘히 만들어야 할 농민 안전망 강화
전남도, 보험·등화장치 등 지원
  • 입력 : 2024. 06.18(화) 17:22
전남도가 농작업 재해에 대한 안전망을 강화키로 했다는 소식이다. 본격적인 농번기를 맞아 농도 전남의 농촌은 어느 때보다 분주하다. 대다수 농민들이 농기계를 사용하면서 사고 위험도 그만큼 커지고 있다. 농기계 사고가 농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전남도가 실시키로 한 농민 안전망 강화는 당연하다.
 
18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이후 최근까지 3년 동안 전남에서 발생한 농기계 사고는 모두 582건으로, 28명이 숨지고 270명이 크고 작은 부상을 입었다. 지난 2020년 국회 서삼석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농업인 안전보험 가입·보상 현황에도 농작업 재해율은 2015년 4.2%에서 2020년 6.3%까지 상승했다. 전체 산업 재해율이 2018년 기준 0.54%로 농작업 분야의 재해율이 10배 이상 높은 수준이라는 것이 서 의원의 설명이다. 2015~2019년 농작업 사고로 숨진 농업인도 연평균 260여 명에 이른다고 한다.
 
농업기술의 발달과 농기계 보급은 농작업의 노동력을 대폭 줄이고 생산성을 괄목할 정도로 높였지만 대형사고의 위험도 그만큼 커지고 있다. 특히 급격한 농업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시달리는 전남지역 농민들은 농작업 과정에서 큰 부상을 당할 우려가 높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순발력과 판단력 등 대처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열악한 의료여건으로 제 때 적절한 치료를 받기 어려운 농촌의 현실이 생명을 위협하는 인적피해와 물적 피해를 넘어 사회적 비용으로 전가된다는 것도 문제다.
 
전남도는 농민의 안전한 삶이 보장될 수 있도록 농업의 특수성을 반영한 더 많은 지원방안을 내놔야 한다. 방향지시등 부착과 종합보험 가입 등 소극적 지원은 한계가 있다.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역할도 필요하다. 국민의 식량을 책임지는 농촌에서 매년 늘어나는 농업재해를 자치단체와 농민에게만 전가해서는 안된다. 농민을 위한 촘촘한 안전망이 곧 안정적인 식량생산의 첩경임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