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성태의 남도역사 이야기> 신지도에 유배 온 동국진체의 완성자, 원교 이광사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노샘의 남도역사 이야기
노성태의 남도역사 이야기> 신지도에 유배 온 동국진체의 완성자, 원교 이광사
‘동국진체’ , 18세기에 출현한 우리 고유 서체||옥동 이서가 서법 정립, 원교 이광사가 완성||이광사, 조선 2대왕 정종의 아들 이후생 후손||나주괘서사건 연루 완도 유배 동국진체 완성||대흥사 등 유명 사찰 현판에 원교 글씨 남아||15년간 유배 생활 했던 적거지 금곡마을 인근||서결 기념물, 적거지 등 이광사 문화거리 조성
  • 입력 : 2022. 09.15(목) 13:58
  • 편집에디터

이광사 문화거리에 설치된 '서결' 기념물

동국진체의 완성자, 이광사

해남 대흥사 '대웅보전'의 원교 이광사(李匡師, 1705~1777) 글씨는 추사 김정희와 얽힌 일화로 유명하다. 1세기 정도 후대의 인물인 추사가 1840년 제주도로 귀양가던 중 초의선사를 찾아 대흥사에 들른다. 그리고 원교가 쓴 '대웅보전'의 현판을 보고 촌스럽다고 깎아내리면서 떼어내고 자신의 글씨로 대신하게 한다. 조선적인 조형성을 추구한 동국진체에 대해 추사는 조선의 글씨를 다 망쳐놓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 후 유배가 풀려 8년 만에 다시 대흥사를 찾은 추사는 원교가 쓴 대웅보전 현판을 다시 찾아 걸도록 했다. 중국 중심의 전통 서법을 추구했던 추사도 조선 고유의 서체인 동국진체의 진가를 인정한 것이다.

이광사는 김정희의 마음을 미리 예견했는지 "마음의 바탕이 밝고 정직하지 못하거나 학식의 도량이 부족하여 문기(文氣)가 죽은 사람의 글씨는 재주와 필력이 있어도 한낱 글씨장이에 불과하다"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추사가 인정한 동국진체는 옥동 이서가 정립한 서법을 이광사가 완성한 조선 고유의 서체다. 서예 분야에서 동국진체가 출현했던 것은 '진경시대(眞景時代)'라는 당시의 시대 분위기와도 관련이 있다. 이 시기는 성리학이 조선 고유의 이념으로 뿌리내리게 되었으며, 병자호란 이후 청에 대한 적개심과 우리 문화에 대한 자존감은, 조선이 곧 중화(中華)라는 조선 중화주의를 표방하던 시대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조선 고유의 문화가 성립되고 발전할 수 있었다. 자국 문화에 대한 자존감과 우수성에 대한 인식은 글씨에서 조선 고유의 서체인 '동국진체'로 발현되었다.

옥동 이서에 의해 시작된 동국진체는 이후 공재 윤두서를 거쳐 소론계 학자였던 백하 윤순에게 전해졌고, 윤순의 서법을 계승한 원교 이광사에 의해 완성된다. 원교는 중국의 왕희지체를 본받으면서도 우리 고유의 생명력을 글씨에 담아낸다. 윤순은 이광사의 스승이다.

신지도에의 유배

조선 고유의 서체인 동국진체의 완성자 원교 이광사가 완도 신지도에 유배와 동국진체를 완성하였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동국진체'가 오늘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측면도 한몫했다고 본다. 어쩌면 영·정조시대 역사서인 『연려실기술』의 저자 이긍익이 그의 아들이라고 하면, 아마 놀랄지 모른다.

동국진체의 완성자 이광사, 그는 조선 제2대 왕 정종의 아들인 덕천군 이후생의 후손이다. 정종의 피가 흐른 왕족이었으니 한때는 왕족으로 위세를 누리기도 했다. 부친인 이진검은 과거급제 후 평안도 관찰사 및 예조판서를 지낸다. 그러나 왕족으로서의 위세는 거기까지였다.

이광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 조정의 권력구조를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조선 제19대 왕 숙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분이 경종이다. 그런데 경종은 건강이 좋지 않았고, 아들마저 없었으므로 당시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노론은 소론의 반대를 물리치고 이복동생 연잉군(영조)을 왕세자로 책봉한다. 이후 노론은 세자의 대리청정까지 강행하자, 소론이 역공을 펴 노론의 4대신을 4흉으로 몰아붙이는 상소를 올려 권력을 빼앗는다. 이때 이광사의 큰아버지 이진유가 상소문을 올릴 때 연명자가 되었고, 이후 이진유는 사헌부 대사헌, 성균관 대사성, 이조참판의 요직을 지낸다.

경종이 세상을 뜨고 연잉군 즉 영조가 즉위하자 상황은 반전된다. 노론이 권력을 장악했기 때문이다. 소론이 몰락하자, 이광사 집안에 회오리가 몰아친다. 큰아버지 이진유는 귀양길을 전전하다 곤장을 맞고 죽었으며, 부친 이진검도 1725년 강진에 유배 후 죽었는데, 이때 이광사의 나이 17살이었다. 이후 이광사 집안은 '역적 집안'이라는 꼬리표가 붙는다. 역적 집안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다녀야 했던 이광사는 과거를 볼 수 없었다. 성리학에 저항적인 신학문인 양명학을 받아들였고, 글씨에 매진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다.

이광사의 불행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1755년, 나주에서 30여 년간 귀양살이하던 소론 윤지가 노론을 제거할 목적으로 나주 금성관 입구 '망화루'에 괘서(掛書)를 붙여 영조를 비난하는 나주괘서사건이 일어난다. 소론은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였고, 윤지를 비롯한 사건 주동자들은 영조의 친국 이후 사형을 당한다. 이때 윤지와 편지를 주고받곤 했던 이광사는 이 사건에 연루되어 함경도 부령으로 유배된다. 부인 유씨는 이광사가 의금부에 하옥된 후 참형되었다는 소문을 듣고 목을 매 자결한다. 이광사의 나이 51세였다.

이광사가 부령에서 유배 8년째가 되던 해에, 유배지는 다시 완도 신지도로 바뀐다. 부령에서 현지인에게 글과 글씨를 가르치며 무리를 선동했다는 어이없는 죄목이었다. 그가 신지도(전남 완도군 신지면 금곡리)로 이배(移配)된 이유였고, 신지도에서 일생을 마친 이유였다. 그의 나이 73세였다.

고단함을 품은 초상화

이광사 초상화

조선 후기 풍속 화가로 가장 유명한 분은 신윤복이다. 신윤복의 부친 신한평이 원교 이광사를 그린 초상화가 남아 있다. 초상화가 보물 제1486호로 지정되었으니 보통 수작이 아니다. 초상화 오른쪽에 쓰여 있는 작자 미상의 제(題)를 보면 제작연도가 영조 50년(1774)임을 알 수 있다. 당시 이광사의 나이 70세로, 돌아가시기 3년 전이다.

신한평이 이광사의 초상화를 그릴 수 있었던 것은 초상화를 그리기 1년 전인 1773년, 영조의 어진(御眞, 임금의 초상)을 모사할 때 심부름하던 화공으로 참여했고, 그 공로로 신지도 만호에 제수되었기 때문이다. 이때 신지도에 내려와 이광사를 만나 초상화를 그렸는데, 귀양살이하는 사람의 초상으로는 매우 드문 예다.

초상화는 이광사의 외모뿐 아니라 내적 심리상태를 잘 보여주고 있어 그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사각형 두건을 쓰고 흰 도포를 입고 있으며 책상다리를 하고 앉아 있는 모습이지만, 다리 모습이 보이지 않아 흉상에 가깝다. 이광려가 쓴 '원교선생묘지'에 "몸과 얼굴이 두텁고 크니 쳐다보면 천연스럽고 귀중하며……또 음량이 크고 목소리가 우렁찼다"는 구절이 이해된다. 밝고 형형한 눈빛은 이광사의 고결한 성품을 잘 드러내고 있지만, 수심이 깃든 얼굴 표정에 신지도 유배살이의 고달픔도 잘 드러나 보인다.

전라도 땅에 남겨진 글씨들

대흥사 대웅보전 현판

강진 백련사 '만경루'

구례 천은사 '명부전'

고창 선운사 '정와'

신지도에 이배되자, 그의 글씨를 알아본 많은 스님이 신지도를 찾는다. 오늘 전라도 일대의 사찰 현판에 그의 글씨가 많이 남아 있는 이유다.

해남 대흥사에는 추사가 제주도로 귀양가면서 촌스럽다고 깎아내렸던 '대웅보전'을 비롯, '침계루', '천불전', '해탈문'이 모두 이광사의 글씨다. 마치 이광사의 서체 전시장 같다. 대웅보전 바로 옆 백설당의 현판 '무량수각'은 추사 글씨로, 최고 명필의 글씨가 나란히 걸려 있어 흥미롭다.

인근 강진 백련사의 '대웅보전'과 구례 천은사의 '일주문', '극락보전', '명부전' 글씨도 그의 글씨다. 유홍준(전 문화재청장)은 대흥사 대웅보전에 걸린 이광사의 글씨를 "획이 삐짝 마르고 기교가 많이 들어간 것 같지만 화강암의 골기가 느껴진 황토색 짙은 작품"이라 평했다. 이광사의 글씨에 대한 평은 또 있다. 서예가인 김병기 전북대 교수는 "원교의 글씨는 신지도 앞 바다의 잔잔한 듯하면서도 때로는 거친 파도를 닮아 노기(怒氣)를 띠고 있다"고 평했다.

그의 사찰 현판 글씨는 전북의 사찰에도 많이 남아 있다. 부안의 내소사 '대웅보전'과 김제 금산사의 '천왕문', 고창 선운사의 '정와(靜窩)', '설선당'도 다 이광사 글씨다.

신지도에 남은 흔적

이광사 적거지

신지도 금곡마을은 그가 15년간 유배 생활을 했던 적거지다. 유배 당시 살았던 집은 새로 복원되어 단장되어 있다. 이곳 적거지에서 그는 서예의 이론서인 서결(書訣)을 완성한다. 그가 쓴 이론서 서결은 현재 보물 제1969호로 지정되어 있다.

마을 입구에 멋진 소나무 한그루가 서 있는데 이광사가 심었다고 해서 '원교목'으로 불린다. 이 원교목은 신지도 15년 유배 생활의 고달픈 삶도, 동국진체도, 서결의 완성도 다 지켜본 산 증인이다.

적거지 가까이에 있는 신지면사무소가 있는 대평리에는 '원교 이광사 문화거리'가 조성되어 있다. 오늘 이광사가 다시 신지도에서 부활하고 있는 셈이다.

편집에디터 edit@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