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홍승의 클래식 이야기>오케스트라 연구 Ⅱ=미래 한국 오케스트라의 선택지(選択肢)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백홍승의 클래식이야기
백홍승의 클래식 이야기>오케스트라 연구 Ⅱ=미래 한국 오케스트라의 선택지(選択肢)
  • 입력 : 2019. 07.11(목) 14:14
  • 편집에디터

광주시립 교향악단

미래 한국 오케스트라의 선택지(選択肢)

그동안 국내 클래식 시장에서 광주만큼이나 변방이었던 대구가 요즘은 주요 클래식 도시로서 주목받고 있다. 몇 년 전 부터 시작된 '대구 월드 오케스트라 시리즈'라는 국제적 규모의 클래식 행사 개최가 가능한 첫 번째 이유는 그 지역에 경제력이 있기 때문이다. 일단 기본적으로 훌륭한 음향의 클래식 전용 홀과 오페라 극장 등 공연 관련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었다는 점에서도 월드클래스의 행사를 진행하는데 무리가 없다. 또한 세계 여러 유명 오케스트라들과 지휘자, 솔리스트들을 초청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지 기업이나 개인 자산가들의 후원은 필수일 테고 티켓 구매력을 갖춘 상당수 대구의 클래식 팬들이 존재해야 실현될 수 있는 행사라는 점에서 이것도 결론은 바로 자본의 힘이다. 앞으로 한국 오케스트라의 미래는 어떠할 것인가? 서울의 서울시향과 KBS향은 별론(別論)으로 하고 사실상 한국 내 주요 오케스트라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지방 각지의 '시립교향악단'의 미래에 대한 필자의 솔직한 견해는 이렇다. 지난 번 칼럼에서도 언급했지만 현대 오케스트라 운영의 핵심은 바로 재정의 확보라 할 수 있다. 즉 오케스트라에 소요되는 모든 예산 '단원들의 급여', '지휘자'와 '솔리스트'의 개런티, '홍보비' 등 바로 이 '운영비용'에 관한 것인데 툭 까놓고 말하자면 '돈'의 문제인 것이다. 어쨌든 자본과 경제력이 없는 도시에서 운영되는 시립교향악단은 미래 발전 방향의 모색도 중요하겠으나 그보다는 우선 악단의 존속 가능여부에 대한 심각한 고려가 더 현실적이라고 본다. 변화의 시작은 권리의식이 향상된 시민들의 사소한 요구에서부터 시작될 것이다. 본인들이 낸 세금으로 운영되는 시립교향악단에 대해 성실한 납세자로서 이 정도의 요구는 당연한 권리라는 데서 이야기는 출발할 것이다. "도대체 우리 시(市)에 시립교향악단이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겠다, 다른 나라 프로 오케스트라에 비해서 공연 횟수가 너무 적고 시민들과의 소통도 거의 없는 거 아니냐? 근무들은 제대로 하느냐? 거기다 연주는 또 왜 그렇게 못하느냐?" 여기에서 조금 더 나가 지역 언론, 시의회 의원들까지 가세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이 문제는 공론화 과정에 돌입하게 된다. 한국의 시립교향악단과 해외 오케스트라들이 운영형태가 완전히 다르다는 것을 인정 하더라도 연간 공연 횟수가 3배~4배의 차이가 날 정도라면 너무 일을 안 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의심 받을 것이다.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기대하며 운영비의 삭감을 요구하고 그러기위해서는 시립교향악단을 법인화 시켜서 재정자립도를 높이고 매해 투입되는 시의 보조금을 점차 줄여가자는 주장도 나올 것이다. 시민의 세금으로 오케스트라 전체의 운영비와 고용의 안정성까지 보장하고 있으므로 고급 문화향수권(文化享受權)을 주장하며 근본적인 오케스트라 수준의 향상을 당연하게 요구할 것이다. 말하자면 지금보다 훨씬 더 나은 음악을 들려주라는 것이다. 이와 함께 현재 단원들이 공무원에 준하는 대우를 받고 있다는 이유로 엄정한 복무관리, 운영규칙에 따른 정기오디션(정기평정)의 강화 등에 이르기까지 시립교향악단에 대한 전체적인 기대 수준은 점점 더 높아질 것이다. 물론 이러한 시민들의 요구가 터무니없고 무리한 요구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오히려 요구에 따르는 합리적인 근거들도 그 정도면 충분히 있는 셈이다. 그런데 지역사회의 이러한 상황적 변화와 요구들에 대해 유일하게 반대하는 쪽은 안타깝게도 절대적 소수인 시립오케스트라의 단원들뿐이다. 여기까지는 이미 국내 광역시급(廣域市級)은 물론 시립교향악단을 운영하고 있는 중소 도시들 대부분에서 이미 진지한 논의가 시작되고 있거나 진행 중인 사항들이다. 어디까지나 시간문제 일 뿐 결국 각 지역별로 지방정부의 선택에 따라 오케스트라 운영방식의 대폭적인 변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제 정리하자면 선택지(選択肢)는 크게 두 가지다. 모든 운영비를 시민의 세금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시립교향악단의 제도를 유지하려면 시민들의 여러 가지 요구에 진지하고 성실하게 응해야 한다. 만약 이러한 요구들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시립교향악단들은 어쩔 수 없이 법인화의 길을 가게 될 것이고 곧이어 '자생력 강화'라는 단어에 익숙해 져야 할 것이다. 이 외에도 해외의 사례에 비추어 봤을 때 아직 우리에게 생소하지만 '고양시교향악단'과 같은 계약 오케스트라의 운영 등이 사이드 메뉴로 보편화 되어 또 다른 선택지로 남을 가능성도 있다. 어쨌든 세상은 이렇게 변하고 있고 광주광역시장 직속 심의기구인 광주혁신추진위원회는 광주시립예술단 활성화 등의 내용을 담은 시정혁신 권고안을 발표했다. 10개의 혁신과제도 동시에 제시되었다. 혁신위원회의 권고안은 한마디로 광주시립예술단은 많은 예산이 투입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광주를 대표하는 브랜드도 없고 경쟁력도 떨어진다는 뜻이다. '문화수도', '아시아 문화중심도시'는 우리 지역 스스로가 설정한 지향점이다. 애초에 타 시도나 정부가 이에 공감하는지는 중요하지 않았다. 우리 광주가 수도권과 영남권에 비해 발전이 더디다보니 당연히 경제적 여건이나 문화 관련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것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정말로 광주가 '아시아 문화중심도시'로 가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세계에서 가장 보편적인 공연 장르이며 한 나라나 도시의 문화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가 된다는 오케스트라의 발전을 위한 장기적 발전 방안과 계획 정도는 있어야 한다.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는 프로 오케스트라들이 운영되고 있으며 또 많은 나라에서는 오케스트라 연맹이 구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일본은 일본 오케스트라연맹(Association of Japanese Symphony Orchestras)이 있고 미국에는 미국 오케스트라 리그(the League of American Orchestras)가 있다. 독일과 영국, 프랑스, 러시아에도 오케스트라 연맹들이 있다. 각각의 법인 오케스트라들은 연합하여 거대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하고 오케스트라의 발전방향을 공동 연구하며 주요 정보들을 공유하기 때문에 이런 조직들은 구성이 매우 견고하고 상호 유기적이다. 반면 한국에는 아직 오케스트라연맹과 같은 조직이 없다. 이것은 단순히 한국오케스트라들의 법적성격과 운영체계의 특이성 때문일 것이다. 어느 때고 필요성이 생긴다면 언제든지 이런 조직들은 만들어지겠지만 그런 면에서 올해 4월 대전 시립교향악단의 주최로 전국 6개 광역시립교향악단의 운영진이 모인 가칭' 전국광역시립교향악단 협의회'는 그 출발점으로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광주시향의 선택지

광주는 지금 지역 경제가 너무 어렵다. 자영업자 자진 폐업율, 시 내 사무실 공실률 전국 최고치 등 수많은 경제지표는 최악의 지역경제 상황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사실 일반 시민들에게 예술이라는 것은 민생고가 해결된 후에야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을 것이고 당연히 경제가 어려워졌을 때 가장 먼저 외면당하는 분야 역시 예술 쪽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시립예술단체 노조의 순기능을 지지하는 사람이다. 예술가들이라고 물만 먹고도 살 수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세상 모든 근로자의 권리는 인간의 존엄성을 기반으로 차별 없이 존중되어야 마땅하다. 그러나 그 권리 보장이 시민들의 권리가 침해되거나 제한되거나 양보함으로서 얻어지는 것이라면 이것은 또 문제가 달라진다. 그러니 이제 계획을 세워야 한다. 어떻게 되겠지 하고 있어서 해결될 일은 절대 아닐뿐더러 세상은 그렇게 허술하지 않다. 광주시민들 중 상당수는 광주시립교향악단 단원들의 예상보다 훨씬 더 권리의식이 강하며 합리주의자들이고 게다가 적극적이기까지 하다. 솔직히 나는 지역 여기저기에서 "시민의 혈세를 쓰면서 그렇게밖에 못할 거면 차라리 광주시향을 없애버려야 한다."는 험한 말까지도 가끔 듣는다. 그럴 때 마다 표정관리도 해야 하고 "죄송하다, 열심히 하겠다."고 응대하는 게 최선이다. 서로의 권리 주장에 따른 대립이 생기고 이것이 표면화되기 시작하면 더 불리하고 위태로워지는 쪽은 늘 제도권 내의 예술가 집단이기 때문이다. 현재 시립예술단 전체의 조직 진단이 외부 용역업체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최종적인 혁신권고안(革新勸告案)이 나왔을 때 서로에게 큰 상처가 남지 않는 절충점을 찾는 것만이 현재로서는 유일한 선택지(選択肢)일 것이다. 여기까지가 나의 생각이다.

얼마 전 본 영화 '기생충'의 대사다. "아들아, 역시 너는 계획이 다 있구나." 아들이 대견한 아버지는 시의적절하다는 말까지 덧붙인다. 그러나 허술한 계획들은 예측불허의 변화무쌍한 현실을 감당해내지 못하고 허물어지기 시작한다. "아버지, 계획이 뭐예요?" 일이 틀어지기 시작하고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자 아들이 묻는다. 아버지는 의미 없는 궤변을 늘어놓지만 공허하다.

당장 어느 날 갑자기 한 광주시민이 "광주시향의 계획은 도대체 뭐예요?" 물어 온다면 우리의 대답은 궤변은 아니겠지만 형식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것도 공허하기는 마찬가지다.

대구시립 교향악단

대전시립 교향악단

부산시립 교향악단

울산시립 교향악단

인천시립 교향악단

편집에디터 edit@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