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지역특구 운영성과 평가에서 우수 특구로 선정된 곡성 ‘곡성섬진강기차마을특구’의 모습. 곡성군 제공 |
특정 지역에 경제적, 행정적 규제 완화와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지역 경제를 성장시키고,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 차별화된 경쟁력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이 제도는 20년 역사에 비해 관련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문제제기가 계속되면서 관련 제도개선을 위한 다양한 논의도 이어져 왔다.
2023년 기준 지역특화발전특구로 지정된 곳은 총 190개다. 이 중 전남이 32곳으로 가장 많으나 광주는 3곳으로 1곳을 기록한 대전, 2곳 울산에 이어 전국에서 세번째로 지역특화발전특구가 없는 곳에 속한다.
그러나 지역특화발전특구가 대규모 자본이나 자연 경관 등 각 인프라를 이미 보유한 지역에 혜택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는데다, 실질적인 효과를 보기 전에 관련 예산이 소진되거나 부적절하게 집행된다는 지적이 계속돼왔다.
이와 더불어 특구 지정 후 초기에는 기업 유치 성공 등 성과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인 지원 사업에 국한되는 등 재정자립도가 열악한 각 자치구에서 지속적인 사업비 확보가 어렵다는 점도 문제다. 지원 사업 등이 만료될 경우 지원에 의지했던 기업이 철수하고, 이 기업에 의지했던 지역 경제 자립률 또한 하락세를 기록하는 등 지속가능성 자체가 낮을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광주·전남의 경우 대부분의 특구가 향토자원분야에 그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혁신시스템에 많은 파급력을 줄 수 있는 산업·연구특구 지정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로 꼽힌다.
실제 서울 △영등포 스마트메디컬특구 △성동 융·복합혁신교육특구, 부산 △진구 서면 신발산업 성장거점특구 △서구 글로벌 하이 메디허브특구, 대구 △중구·수성구 메디시티대구 글로벌의류특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특구가 지정된데 비해 광주의 경우 ‘광주시·광산구 우리밀산업특구’를 제외한 두 특구가 모두 문화예술에 국한돼 있으며, 전남은 ‘화순 백신산업특구’, 순천 ‘친환경농업특구’, 나주 ‘에너지교육특구’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역적 특징 및 특산물에 국한된 특구 지정이 대부분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재정자립도가 낮은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관련 재원 확보가 어려운 만큼 정부 차원에서의 폭 넓은 지원 정책을 마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 법인세 경감, 소득공제, 토지이용 규제완화 등 규제특례 및 세제 혜택과 더불어 부실운영특구에 대한 정비 및 철저한 평가제도 확립 등을 통해 지역특화발전특구의 난립을 막고 효율적인 운영 방식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실제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이 실행한 특구 전반에 관한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중점을 둬야 할 정부 지원 방식으로는 재정지원이 1위, 기술·사업성 평가를 통한 자금지원이 2위, 조세감면이 3위를 차지하는 등 정부의 재정 및 세제 지원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김권식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지역특화발전특구 제도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특화발전특구위원회의 규제발굴 추진 기능을 강화하고, 민간참여확대를 위해 시행령을 개정해 민간기업의 특구계획 제안을 제도화하고 절차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며 “중앙부처 사업 및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재정사업과의 연계 등 조항 개정을 통한 타 재정사업과의 연계성 강화와 성과지표 개발 등 성과체계 개선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는 특구에 대해서는 정비 및 사업고도화를 통해 개선하거나 특구 해제 절차를 간소화, 명예졸업제 등을 도입해 해제 이후에도 지역 브랜드로서 특구명칭은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도 있다”며 “미활용 규제특례 일몰제 및 특구 유형 재분류 등을 통해 특구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 특구의 고도화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 취재는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지원을 받았습니다.
오지현 기자 jihyun.oh@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