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철의 오페라 오디세이>처절한 피의 복수…사실주의 오페라의 진수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최철의 오페라 오디세이
최철의 오페라 오디세이>처절한 피의 복수…사실주의 오페라의 진수
<마스카니의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가장 이탈리아적 작품…새 장르 개척
시칠리아 배경…사랑·배신·복수 다뤄
격정적 소프라노 창법…성악계 변화
민중의 삶 비극적 묘사 ‘충격의 전율’
  • 입력 : 2024. 09.12(목) 18:07
피에트로 마스카니의 단편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공연 장면. 출처 코벤트가든 로열오페라하우스
가장 이탈리아적인 오페라를 뽑자면 저자는 두말하지 않고 피에트로 마스카니(Pietro Mascagni, 1863~1945)의 단편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Cavalleria Rusticana, 1890, 로마 콘스탄치 극장>라고 말하고 한다. 피의 복수극으로 점철된 이 작품은 마스까니의 첫 오페라이자 엄청난 성공을 거둔 그의 생애를 대표하는 작품임과 동시에 ‘사실주의 오페라’란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작품이기도 하다.

음악출판업자 에도아르도 손조뇨(Edoardo Sonzogno)는 이탈리아의 차세대 작곡가를 발굴하기 위한 콩쿠르를 1888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하였다. 지원 조건은 1막으로 구성된 오페라만이 출품 가능했으며 여기를 통해 선발된 최우수 작품 세 편은 손조뇨의 부담으로 로마 오페라 극장 무대에 오를 기회를 제공하였다. 마스카니는 마감일이 두 달여 남았을 때 대회 소식을 듣고 자신이 준비해왔던 사실주의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를 급히 완성하여 출품할 수 있었다. 마스카니는 지금까지 오페라가 18세기~19세기에 벌어진 귀족의 궁정 이야기를 중심으로 제작된 것에 환멸을 느끼고 있었다. 모차르트의 <코지 판 투떼>나 <카르멘>과 같이 민중의 삶이 소재가 된 작품도 일부 있었지만, 대부분 이러한 오페라 속 궁정의 이야기는 자신을 비롯한 민중에게는 비현실적인 이야기로 유머와 재간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는 해피엔딩 결말의 작품은 이제 지겹다고 느껴질 것으로 판단했다. 그는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회 속의 이야기를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싶어 했으며 빈부의 격차로 일어나는 갈등과 불화, 치정과 애증 같은 격정적 요소를 세밀하게 무대 위에 표현하려 했다. 특히 일반 민중의 삶을 희극보다는 처철 할 정도의 비극적으로 묘사하여 관객에게 충격의 전율을 선사하려고 했다.

피에트로 마스카니의 단편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공연 장면. 출처 영국 로리 극장
이 작품을 연주하는 소프라노 가수는 특별해야만 했다.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가 초연되었을 때 관객은 소프라노 가수의 노래를 듣고 충격에 빠졌다. 벨칸토 발성으로 아름다운 소리로 찬사를 받던 소프라노는 이 작품에서 격정과 분노를 쏟아내야만 했으며, 폭발되는 관현악 반주부를 장악해야 하는 큰 음성을 소유해야만 했다. 드라마틱한 표현을 위해 소프라노의 격정적인 창법은 벨칸토 발성 중심의 성악계의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후 소프라노뿐만 아니라 남성 가수들 역시 확장된 오케스트라 음향을 이겨내고 성격배우 역할을 거뜬히 해낼 수 있는 성악가들이 사실주의 오페라와 함께 인기를 구가하게 되었다.

피에트로 마스카니의 단편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공연 장면. 출처 몬테카를로 오페라극장 인용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는 인기와 별도로 음악사적으로도 꽤 중요한 작품이다. 19세기 후반기부터 20세기 전반기까지 이탈리아에서 크게 유행했던 사실주의 오페라의 효시가 된 작품이기 때문이다. 이 작품의 성공 이후 폰키엘리의 <라 죠콘다>, 푸치니의 단막 <외투>, 조르다노의 <안드레아 쉐니에>, 레온카발로의 단막 <팔리아치>, 칠레아의 <아드리아나 르쿠브뢰르> 등 사실주의 명작들이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의 영향을 받아 쏟아져 나왔기 때문이다.

피에트로 마스카니의 단편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공연 장면. 출처 이탈리아 레체 아폴로극장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Cavalleria Rusticana)를 우리말로 해석하면 ‘시골뜨기 기사도’ 정도로 의역할 수 있다. 종종 우리나라에서는 ‘향토예비군’이라 제목을 붙이곤 했는데 이는 지나친 오류적 해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목은 작품 안의 주인공인 두 시골 남자가 한 여자를 두고 결투를 벌이는 내용이기 때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작품은 원작자인 이탈리아 소설가 조반니 베르가(Giovanni Verga, 1840~1922)가 1880년에 쓴 동명의 소설을 1884년에 베르가 본인이 직접 희곡으로 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스카니가 오페라로 만들었다.

이 작품의 배경은 이탈리아 지역 중 지배 계급으로부터 가장 심하게 수탈당하던 시칠리아이다. 이 지역은 가혹한 핍박 때문에 가난이 대물림되어 힘겨운 삶을 살다 보니 가족 간의 관계가 돈독하고 이 때문에 가족의 명예를 더럽히면 ‘피의 복수’를 서슴지 않는 지역이기도 하다.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의 주인공 투릿두는 군에서 제대해 고향으로 돌아왔건만 그의 연인 롤라는 마부 알피오와 결혼을 하였다. 실망한 투리두는 같은 마을 처녀 산툿자와 사귀면서 같이 살게 되지만 마음은 여전히 롤라에게 있다. 산툿자가 투릿두의 어머니인 루치아의 술집으로 찾아와 투릿두의 행방을 묻는다. 루치아는 대답을 회피하다가 술을 사러 갔다고 둘러대자 산툿자는 울면서 투릿두가 어제 저녁부터 안 보인다고 말하며 루치아에게 알피오와 결혼한 롤라가 투릿두와 자신의 사이를 인지하고 투릿두를 유혹했다는 것이다. 이에 놀란 루치아는 성당으로 기도하러 달려간다. 그런 가운데 투릿두는 광장으로 가다가 산툿자를 만나고 산툿자는 롤라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하는 투릿두를 비난하지만 투릿두는 그 사실을 부인한다. 이어 롤라가 나타나서 투릿두에게 같이 성당에 가자고 하고 이에 화가 난 산툿자가 둘에게 따지자 투릿두는 산툿자를 밀쳐버리고 성당으로 가버린다. 이어 나타난 알피오에게 산툿자는 격분해 롤라의 배신을 전하고 이에 눈이 뒤집힌 알피오는 복수를 다짐하며 투릿두에게 달려가 결투를 신청한다. 죽음을 예견한 투릿두는 어머니에게 산툿자를 잘 보살필 것을 이야기한 후 결투 장소로 향하고 결국 고함과 함께 투릿두가 죽었다는 외침이 들리며 막이 내린다.

피에트로 마스카니의 단편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공연 장면. 출처 영국로열오페라단
시칠리아 하면 생각나는 것은 한없이 지중해를 머금은 아름다운 자연과 그리스와 로마의 영향을 받은 찬란한 문화유산, 그리고 끈끈한 가족주의가 낳은 악명 높은 마피아부터 생각난다. 시칠리아에서 결투의 시작은 서로의 귀를 물어뜯는 것으로부터 시작을 알리며 결투의 끝은 죽음이다.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의 줄거리는 우리나라에서 가끔 뉴스에서 볼 수 있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과거 긴 군 생활로 인하여 멀어진 연인의 결별과 이로 인해 극도로 격분한 이들의 치정 사건이 우리 주변에서도 종종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이러한 일은 종종 발생하는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가장 이탈리아적인 오페라로 불리는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는 생명이 소생하는 봄, 부활절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러하기에 인간 본성의 적나라함과 이와 함께 이루어지는 피의 복수극, 그리고 처절한 죽음이 더욱 허망하고 가슴 아프게 관객에게 다가오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광주시립오페라단 예술감독·문화학박사



피에트로 마스카니-이탈리아 중부 지역인 토스카나주의 리보르노에서 제빵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법조인이 되기를 바라는 아버지의 반대를 무릅쓰고 음악가의 길을 선택한 마스카니는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로 일약 스타덤에 오르고 훗날 페사로 음악원장, 로마 음악원장을 지내게 된다. 하지만 무솔리니 정권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국민 음악가로 추대까지 됐지만, 이러한 경력 때문에 훗날 모든 재산을 몰수당하고 동료들에게도 따돌림을 받게 되었다.



추천 명곡-투릿두와 롤라의 부정한 관계를 시어머니인 루치아에게 알리는 산툿자의 아리아/Voi lo sapete, o mamma(어머니도 아시다시피)/Giulietta Simionato 연주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