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니제티의 오페라 ‘사랑의 묘약’ 공연 중 사랑의 묘약이라고 속아서 구입한 포도주를 들고 열창하는 네모리노. 출처 뉴욕메트로폴리탄 오페라극장 |
![]() 오페라 ‘사랑의 묘약’ 공연 중 약장사 둘카마라가 등장하는 장면. 출처 뉴욕메트로폴리탄 오페라극장 |
![]() 지난 2023년 공연된 광주시립오페라단의 ‘사랑의 묘약(이경재 연출)’. 광주시립오페라단 제공 |
![]() 오페라 ‘사랑의 묘약’에서 네모리노 역을 맡은 테너 루치아노 파바로티. |
도니제티의 오페라를 로시니, 벨리니와 함께 벨칸토 오페라의 정수라 말하기도 한다. 도니제티는 가수가 궁극적으로 최대한 아름다운 목소리를 구가할 수 있게 만들었게 작곡하였다. 그래서 그의 대표작 <사랑의 묘약>에는 재미와 더불어 벨칸토의 수려함을 가득 담은 아리아의 선율과 재미와 기교가 넘치는 다양한 중창의 멜로디를 만날 수 있다. 우스꽝스럽고 재미있는 중창이 세련된 아리아와 함께 적절히 포진되어 있고 오페라 전체적으로 지겨운 부분은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오페라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도 어느새 이 작품의 매력에 푹 빠지게 된다. 그래서인지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오페라 레퍼토리이기도 하다.
코믹한 내용의 <사랑의 묘약>의 대표 아리아인 ‘Una furtiva lagrima(남몰래 흘리는 눈물)’는 테너들이 가장 사랑하는 아리아 중 하나로, 지구인이라면 오페라는 몰라도 이 아리아는 거의 다 알고 있을 정도로 유명하다. 아디나가 한결같은 네모리노의 마음에 감동하여 울고 있을 때 이를 보고 기뻐하며 부르는 네모리노의 아리아다. 하지만 분위기가 처지고 슬퍼서 오페라 흐름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대본가 펠리체 로마니가 도니제티에게 이 아리아 삭제를 권고했으나 도니제티의 강력한 의지로 삽입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대본가의 우려대로 초연 때에는 관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끌어내지 못했지만. 세월이 흘러 이 아리아의 아름다움에 가장 사랑을 받는 테너 가수의 레퍼토리로 설 수 있었다. 도니제티의 결연한 의지가 없었더라면 우리는 세기의 명곡을 들을 수 없었을 것이다. 1988년 독일 베를린에서 올려진 <사랑의 묘약>에서 네모리노 역을 맡았던 루치아노 파바로티는 오페라 중에 무려 167번, 1시간 7분 동안 커튼콜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파바로티의 이 명연주는 그를 기네스북에까지 오르게 하며, 최고의 테너 가수로 기염을 토하게 하는 전설로 지금까지 회자된다.
오페라 <사랑의 묘약>에서 둘카마라의 약은 싸구려 포도주였지만, 그걸 믿는 네모리노에게는 용기백배하게 하는 명약이었다. 절실했던 네모리노에게 용기의 매개가 되는 ‘사랑의 묘약’인 것이다. 그리고, 관객은 오페라 <사랑의 묘약>을 통해 큰 웃음과 아름답고 즐거운 선율로 감동을 얻을 수 있기에 이는 우리에게 역시 ‘감동의 묘약’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드디어 광주에서도 신나고 재미있는 약장수를 만날 수 있다. 광주시립오페라단의 <사랑의 묘약>을 통해 바라보는 천태만상의 사랑 이야기를 이 지역에서 맛볼 수 있다니 ‘감동과 행복의 묘약’, 생각만 해도 설렌다. 광주시립오페라단 예술감독·문화학박사
![]() 광주시립오페라단 ‘사랑의 묘약’ 포스터 |
특별한 해설과 함께 온 가족이 즐기는 콘서트 오페라, 독일 음악협회 선정 ‘미래의 거장’ 송안훈 지휘, 오디션을 통하여 검증된 대한민국 최고의 출연진, 사랑의 마법에 빠져드는 설렘 가득한 로맨스, 광주시립오페라단의 전석 매진 인기 레퍼토리 <사랑의 묘약>이 온 가족 함께 즐길 수 있는 콘서트 오페라로 광주를 다시 찾는다. 작곡가 도니제티의 대표 희극 오페라의 가장 빛나는 명장면들을 공연 속 해설과 함께 감상하며, 오페라의 재미와 감동을 동시에 느끼는 특별한 기회로 달콤한 사랑을 꿈꾸는 여러분에게 <사랑의 묘약>이 설렘 가득한 봄날의 낭만을 선사할 것이다.
◇예술감독 연출 최철 / 지휘 송안훈 / 네모리노 역 민현기·김준태 / 아디나 역 신은선·김나연 / 벨코레 역 조재경·나현규 / 둘카마라 역 박찬일 / 자네타 역 유지수 / 죠반나 역 박혜민 / 둘카마라 조수 역 윤희철 / 오케스트라 카메레타 전남
◇공연 일자: 2025년 5월 30일 오후 2시 / 5월 31일 오후 2시·오후 5시
◇장소: 광주예술의전당 소극장
◇예매: 광주예술의전당 홈페이지, 티켓링크
◇문의: 광주시립오페라단(062-412-2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