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 문화중심도시 5대 문화콘텐츠 분야의 지속가능한 사업화를 위한 협업 비즈니스모델 육성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광주디자인진흥원 제공 |
4일 광주디자인진흥원에 따르면 ‘아시아문화중심도시 5대 문화콘텐츠 분야 BM(비즈니스모델) 발굴 및 육성사업’에 선정된 14개 지원과제를 대상으로 협업형 사업화 지원에 들어간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광주시가 지원하고 광주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는 이 사업은 사업화 역량이 취약한 5대 문화콘텐츠분야에 종사하는 문화예술인, 영세기업의 사업화 및 소득 향상을 지원하고, 지역 문화산업 성장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광주시와 디자인진흥원은 △미술 △영상 △음악 △공예·디자인 △에듀테인먼트 등 아시아문화중심도시 5대 콘텐츠 분야와 연계된 협업형 BM을 공모, 접수된 34개 과제를 대상으로 평가위원회를 열어 14개 과제를 최종 선정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BM은 △문화예술+관광 기반의 App서비스형 공유플랫폼 ‘큐리지’(㈜디자인코어) △미디어아트 작품 중개 플랫폼(시아) △메타버스 전시와 미술여행을 연결 아카이빙 플랫폼 개발(저스트월드) △AI 활용 장애예술인 창작지원 아카데미 서비스(오로지스튜디오) 등 5개 과제이다.
광주 동명동 앵커공간에 오감체험형 아트 팝업스토어 조성(㈜위치스)을 비롯해 △광주 고려인마을 문화상품·체험샵 ‘구멍가게’ 조성 운영(더브로) △광주 청년미술작가 3D갤러리 구축, 영상전시, 굿즈 제작판매(문화디자인) △광주 민간정원 1호인 ‘휴심정’에 로컬 브랜드·문화콘텐츠 앵커 스페이스(서근종) 등은 오프라인 공간에서 문화예술품 전시·체험·상품 판매 등에 나선다.
이업종간 협업 사업화 모델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카페와 작가들의 서재가 결합된 ‘문화카페 벅스북스(BugsBooks)’(㈜같이가치) △남도 맛+문화예술 융복합 광주형 로컬이머시브 다이닝 ‘아우르’(㈜광지주) △광주 김치타운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공연·체험과 전통식품 등 결합된 ‘ART+MAK(아트막)’ 갤러리 & 페스티벌(월광주조) 등은 다양한 이업종간 상생 프로젝트로 꼽힌다.
이 밖에 프랑스 한글학교용 ‘메이드 인 광주(Made in Gwangju)’ 공예체험상품 키트 개발 및 수출(에이핸즈협동조합), 아트콜라보 상품 개발 및 대형 유통업체 등에서 미술작품 전시판매(보&봉) 등은 협업 창제작 모델로 선정됐다.
디자인진흥원은 이날 오후 광주인쇄비즈니스센터 회의실에서 선정된 14개 과제의 대표기업을 대상으로 협약 설명회를 갖고 본격적인 사업화 지원에 들어갔다.
나다운 기자 dawoon.na@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