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문법 종료 4년, "지속가능한 문화도시 구상해야"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정치일반
아문법 종료 4년, "지속가능한 문화도시 구상해야"
亞문화중심도시지원포럼, 심포지엄
전담 추진 조직·거버넌스 구축 제언
  • 입력 : 2024. 05.26(일) 18:10
  • 김은지 기자 eunji.kim@jnilbo.com
지난 23일 오후 광주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실에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현재와 미래’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2028년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특별법 종료를 앞두고 광주가 지속가능한 문화도시로의 발전을 위해서는 통합적으로 추진할 조직 확충을 비롯한 새 청사진을 구상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지난 23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심포지엄과 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등은 광주시의회에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아특법 종료를 4년여 앞두고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심포지엄의 발제자로 나선 강신겸 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장은 문화도시 3.0(2025∼2035년) 구상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광주비엔날레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창설되면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기반을 닦았던 1995∼2015년을 문화도시 1.0, 아특법을 만들어 제도적 지원을 확대하고 미디어아트창의도시를 추구한 2015∼2025년을 문화도시 2.0 시대로 규정했다.

강 원장은 “광주가 지속 가능한 문화도시가 되려면 문화를 통해 도시경제를 활성화하고 아시아 문화 교류 중심이자 글로벌 문화도시로서 브랜딩해야 한다”며 “문화도시를 전담 추진할 조직과 거버넌스를 확충하고 아특법 적용과 문화중심도시 조성 기간 연장도 논의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발제를 진행한 김봉국 전남대 호남학연구원 교수도 “문화중심도시 하드웨어는 준비돼 있지만, 콘텐츠를 만들어낼 수 있는 내부적인 문화 역량을 구축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며 “문화도시 담론을 시행할 지역 문화 역량과 시스템이 준비돼 있는지 고민하고 로컬리티와 문화도시의 선순환 생태계 구축을 위한 방향성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김기곤 광주연구원 연구본부장은 “문화에 대한 공공투자가 특정 영역에 집중되지 않고, 도시 전반의 문화 역량을 강화하고 다양한 협업을 통해 다른 영역도 확장될 수 있도록 문화도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고 밝혔다.

관이 아닌 민간이 주도해야 문화도시로 안착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정두용 청년문화허브 대표는 “해외나 국내에서 성공했다고 평가받는 문화 프로젝트 대부분 민간이 주도하고 행정은 지원에 충실했다”며 “관 주도 사업은 전문성·창의성·지속성·독립성·시민 참여를 담보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광주전남 문화기관 종사자·예술인·학계 인사로 구성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지원 포럼’의 학술 행사로, 지원 포럼은 2016년부터 매년 2∼3회 지역 문화 이슈를 공론화해 토론해왔다.
김은지 기자 eunji.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