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일보]이윤선의 남도인문학>갑진년의 시대 정신은 ‘용보다 소사 아저씨’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이윤선의 남도 인문학
[전남일보]이윤선의 남도인문학>갑진년의 시대 정신은 ‘용보다 소사 아저씨’
378) 용보다 소사 아저씨
“용을 때려잡은 소사 이야기는 시대적 패러다임의 변화라는 맥락으로 읽을 필요가 있다. 귀한 것보다는 하찮은 것들의 부상과 의미를 읽는 시대정신이 용좌의 관념보다 우세한 시대다. ”
  • 입력 : 2024. 01.04(목) 10:57
다큐멘터리 ‘길위에 김대중’ 포스터
2024년을 청룡의 해라고 한다. 음력으로 쇠는 단위이고, 역(易)으로 따지면 입춘을 기점 삼는다. 요즘은 양력과 병치하여 생각하는 경향이 많다. 고대의 설날로 따지면 동짓날을 기점 삼기도 한다. 하지만 관념이나 제도 모두 늘 재구성되어온 것이라, 핏대 올리며 따질 이유까진 없다. 지구의 공전이나 고대로부터의 역학이 그렇다는 것이다. 열두 개의 해마다 상징을 넣어 의미를 부여한 것은 동서양이 마찬가지다. 한 해를 ‘띠’라고 부르는 것은 고리, 매듭, 환대(環帶) 따위와 상관된다. 자세한 것은 따로 다룬다. 열두 띠 중에서 용띠가 이야기가 가장 많다. 아홉 가지 상징이 모여 만든 캐릭터이기 때문이다. 머리는 낙타, 뿔은 사슴, 눈은 토끼, 귀는 소, 목덜미는 뱀, 배는 큰 조개, 비늘은 잉어, 발톱은 매, 주먹은 호랑이가 그것이다. 이외 81개의 비늘 등 덧입힌 이데올로기가 무수하다. 용좌(龍座) 즉 왕이나 대통령, 높은 자리로 관념하는 전통이 생각보다 유구하다. 동남아시아의 나가(Naga)에서 동양 전반의 용(龍), 서양의 드래곤(dragon)이 편차도 심하지만 같은 점도 많다. 용의 출처에 대해 오랫동안 논의해왔지만 명료한 답변을 고를 수는 없다. 어느 시점에선가 지금의 모습으로 재구성되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한가지 근원으로 좁히려는 시도 자체가 무망하다. 내가 여기서 문제 삼고 싶은 것은 수천 혹은 수만 가지 용의 형용이나 의미보다는 그것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다.



용전우야 기혈현황(龍戰于野 其血玄黃)

용들이 싸우는 들판에 검고 누런 피들이 튀긴다. 주역 곤괘 6효에 대한 설명이다. 지난 82회 칼럼(2018. 3. 16)에서 봄비를 기다리는 심정에 기대어 내가 읊조려본 대목이다. 다시 인용한다. 상전에 이르기를 용이 들판에서 싸운다는 것은 곤음(坤陰)의 도가 절정에 이르러 건양(乾陽)에 대적하여 다툰다는 뜻이다. 겨울은 캄캄한 하늘이자 밤이다. 밤을 지배하는 용, 아침을 데려올 용의 비유가 모두 들어있다. 피가 검고 붉다는 것이 이를 은유한다. 자연의 이치는 검은 피를 뿌리는 용이 이전의 세상을 물려주고 새로운 세상을 내주는 것으로 귀결된다. 이 전투는 계절의 변곡점에서 반드시 일어난다고 해석된다. 시대의 변곡점에서도 마찬가지다. 문제는 이를 준비하는 단서에 있다. 상전에 이르기를 용육(用六) 상태에서 영원히 참고 견디며 정도를 지키는 것이 이롭다 하였다. 무슨 뜻인가? 곤음(坤陰)이 한겨울이라면 건양(建陽)은 한여름이다. 예컨대 봄의 전령 매화가 어찌 봄비 한 번 내린다고 피겠는가. 참고 견디며 정도를 지켜내지 못하면 아침에 이르지 못하고 봄에 이르지 못하며 한 송이 매화를 피우지 못한다. 기회가 되면 풀어 쓰겠지만, 지금 우리가 관념하는 용의 아홉 가지 상서로운 조합은 서로 결이 다른 것들의 재구성이고, 각각 인고(忍苦)의 절정 혹은 최상과 정점에서 획득된 것들이다. 사정이 이러하니 뜬금없이 유무형의 무력으로 용좌를 얻는다면 어느 누가 그것을 용인하겠는가. 용이라고 하지만 토룡(土龍), 지룡(地龍) 곧 지렁이에 지나지 않을 뿐이다.



용을 때려잡은 소사(小使) 아저씨

용을 한방에 물리친 캐릭터가 소사 아저씨다. 이 칼럼 6회(2016. 8. 26)에서 거론했던 에피소드다. 일제강점기 광주에서 초등(국민)학교를 다녔던 중년의 사람들이 소풍 가는 날 비가 오면, 소사가 용을 때려잡아 그렇다고 수군거렸다. 이무기로 그려지기도 한다. 그 시원은 훨씬 거슬러 올라간다. 후백제의 견훤을 지렁이에 비유한 설화나, 영산강의 시원이라고 주장되는 담양 용둠벙(龍沼)에 승천하다 떨어져 죽은 용, 지리산의 산신이 점지했던 아기장수 우투리 설화 따위가 그것이다. 지렁이, 이무기, 지네 등이 모두 용의 전신(前身)이거나 용의 대체물로 관념된다. 소사 아저씨의 비유가 일제강점기에 유포된 까닭도 여기에 있다. 용좌를 차지할 영웅이 태어났는데 이를 알아차린 마을 사람들이 닥쳐올 피해를 막기 위해 아이를 죽인다는 아기 장수 설화가 아니다. 이보다는 강압적 권위 혹은 원치 않는 용좌에 대한 전복으로 읽어야 한다. 유구하고도 존엄한 용좌를 하찮은 직업 소사 아저씨가 그것도 삽으로 내려찍어 죽였다는 설정을 주목하자. 소사는 조무직 공무원, 학교나 회사의 허드렛일을 하는 이다. 그야말로 이름도 빛도 없이 살아가는 민중, 그 존재의 상징이다. 일제강점기의 환경을 전제하지 않더라도, 용을 때려잡은 소사 이야기는 시대적 패러다임의 변화라는 맥락으로 읽을 필요가 있다. 이야기 발전의 역사에 비유해 말한다면, 신화에서 전설로, 전설에서 민담으로, 민담에서 소설로 이행되어 온 나(自我, 주체)와 세계(他我, 객체)와의 겨루기 같은 것이다. 지금은 소설의 시대다. 서양보다는 동양, 남성보다는 여성, 큰 것보다는 작은 것, 귀한 것보다는 하찮은 것들의 부상과 의미를 읽는 시대정신이 용좌의 관념보다 우세한 시대다. 이를 실천하는 기술은 마땅히 조동일이 말했던 생극(生剋) 정신에 있다. 증오와 경멸 혹은 적대와 전쟁의 유혹이 늘 노회한 변장술로 우리 곁에 나타나기에 그 진위를 다만 알아차리기 어려울 뿐이다. 내가 가진 기준으로는, 용보다 소사 아저씨



남도인문학팁

서생의 문제의식과 상인의 현실감각-길 위에 김대중, 지금 DJ라면

남도에서 김대중을 빼놓고 용좌(龍座)를 생각하기 어렵다. 갑진년, 탄생 100주년을 맞이하는 노력들이 분주하다. 1월 10일부터 다큐멘터리 영화 <길위에 김대중>이 개봉된다. DJ의 일생을 시대순으로 담담하게 나열한 작품이다. 글을 쓰는 사람의 눈으로 보기에 서사나 영상에 아쉬움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고난과 역경을 이겨낸 한 인간, 현대사의 한 본보기가 되었던 일대기를 두 시간 넘게 경청할 수 있어 좋은 작품이다. 군데군데 눈물샘을 자극하는 장면들이 나온다. 때를 맞춘 것인지 박지원의 책 <지금 DJ라면>(메디치, 2023)이 출판되었다. 지금 DJ라면 어떤 문제의식으로 어떤 실천을 할 것인가, 현 시국의 진단에서부터 사통팔달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을 밝혀주는 내용이다. 물론 앞서 참고해야 할 책은 <김대중 자서전1, 2>(삼인, 2010)이다. 여기에 보면 2006년 영남대학교 강연에서 한 학생의 질문에 답하는 장면이 나온다. “서생적 문제의식, 즉 원칙과 철학의 확고한 다리를 딛고 서서 그 기반 위에서 상인적 현실감각을 갖추어야 합니다.” 어찌 이것이 정치에만 국한되는 얘기이겠는가. 박지원의 지적대로 국가 재난 시대, 국민 수난 시대, 윤석열 정부의 4대 위기의 시대를 건너기 위해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실천해야 할까? 위기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김정은이 신년사를 통해 이제는 통일이 가능하지 않다고 했다. 김여정이 조롱조의 추가 담화문을 냈다. 참담하다. 노벨평화상과 햇볕정책을 다시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하의도 빈촌의 아이가 올곧이 자라 시대를 구원하는 지도자의 반열에 이르렀던 것은 서생의 문제의식과 상인의 현실감각을 끊임없이 일궜기 때문이다. 박지원이 이를 받아 평생의 꿈이라고 고백한 대로,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서라면 문지기라도 자처하는 것이, 해양은 물론 대륙을 품을 수 있는 시대적 비전이자 전략이며 실천방안이다. 뜬금없이 북·중·러 네트워크를 후퇴시키고 점진적이었던 역사의 발전마저 퇴행시키는 시대, 어디 문지기뿐이겠는가. 양두구육(羊頭狗肉), 지록위마(指鹿爲馬), 용의 탈을 쓴 지룡 까짓것 한 삽으로 찍어버리는, 용보다 소사 아저씨가 갑진년의 시대 정신이다.

이윤선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전남도 문화재전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