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같은 공보의 부족현상은 향후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국방부는 지난해 군 미필 사직 전공의 3300여명을 최대 4년에 걸쳐 입대시킨다는 계획 아래 2월말 880명에게 입영을 통지했다고 한다. 계획대로 분산 입대한다 하더라도 이달 입영하는 250명의 공보의는 4월 전역 예정인 512명보다 262명이나 적다. 혹시라도 사직 전공의들이 일시에 입대한다면 향후 몇 년간 공보의 공급이 불가능한 최악의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2년째 이어지고 있는 의정 갈등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
올해 공보의로 선발된 배치 예정자들이 현역병 복무를 희망하며 직무교육 집단 거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현역입대시 복무 기간이 짧은 이점이 있다고 한다. 공보의 신규 편입 인력이 2008년까진 연간 2000명 수준을 유지했지만 올해 신규 배치는 716명에 그친 점도 이런 이유라고 한다. 공보의 부족은 고스란히 농어촌 주민들의 의료복지 질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집 가까운 곳에서 치료받을 병·의원 조차 없는 상황에서 그나마 보건소나 보건지소가 유일했는데 이제는 그마저도 의사가 없으니 걱정이 커질 수밖에 없다. 농어촌 의료 공백 현실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공보의 부족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지역 의료 체계의 보루나 다름없는 보건소와 보건지소 마저 문을 닫게될 처지다. 고령자 등 농어촌 주민 건강을 보장할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결국 공보의를 늘리려면 공보의 처우 개선과 의대 정원을 확대하는 수밖에 없다. 정부는 언제까지 ‘강 건너 불구경’ 하듯 팔짱만 끼고 있을 텐가. 2년 가까이 끈 의정갈등 종식과 의대 증원 확대를 반드시 관철시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