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시민 지키자” 여수시, 생활 체감 정책 강화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여수시
“기존 시민 지키자” 여수시, 생활 체감 정책 강화
최근 5년간 연평균 2500명 감소
‘인구 감소 대응’ 정책 집중
청년 임대·월세 특별지원 등
맞춤형 임신·출산 정책 수립
‘1인 가구’ 생애주기별 지원
  • 입력 : 2025. 02.24(월) 17:35
  • 여수=이경기 기자
여수시청. 여수시 제공
여수시가 계속되는 인구 감소 대응을 위해 전입자에 대한 지원보다 실제 거주하고 있는 시민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생활 체감형 정책 추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4일 여수시에 따르면 1998년 통합 당시 33만명이던 인구는 현재 6만2000여명이 감소하며 지난해 말 26만 7816명을 기록했다. 지난 2020년부터 최근 5년간 연평균 2500여명씩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생산가능 인구(15~64세)의 유출 및 고령 인구의 증가로 사회적 인구 부양비 문제까지 대두되고 있다.

이에 시는 올해부터 전액 시비로 추진하고 있는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사업’과 ‘여수형 청년임대주택사업’을 대폭 확대하고 청년월세 특별지원과 청년 취업자 주거비 지원 등을 강화한다.

먼저 ‘청년월세 특별지원’ 사업의 지급 기간을 기존 1년에서 2년으로 연장한다. 부모와 별도 거주하는 19~34세 이하 무주택 청년이라면 월 20만원씩 2년간 최대 48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여수형 청년임대주택 지원사업’ 입주자도 3월 중 모집한다. 관내 거주 또는 전입 예정 무주택 청년·신혼부부 대상이다. 지난해 17호를 공급한 데 이어 올해는 16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25호를 공급한다.

일하는 청년들의 전월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청년 취업자 주거비 지원사업’도 추진된다. 지원 대상은 관내 거주 무주택 청년 노동자 또는 사업자로 전세(대출금 5000만원 이상) 또는 월세(60만원 이하) 주택 거주, 가구소득 인정액이 중위소득 150% 이하면 신청할 수 있다. 전세 대출금 이자 및 월세를 1인당 월 20만원, 최대 12개월간 지원한다. 내달까지 신청자를 모집할 계획이다.

다만 이들 사업은 모두 국가 및 지자체의 주거지원 대상자는 신청할 수 없으며, 소득 여건에 맞춰 선택 지원할 수 있다.

시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출산 정책에도 주력하고 있다.

관내 출생아 수는 지난 2020년 이후 계속 감소 추세였으나, 지난해 6.1% 증가했다. 이는 12년 만의 최대 증가 폭이다. 이와 같은 증가폭에 힘입어 시는 올해부터 ‘영구적 불임예상 생식세포 동결·보존 지원’과 ‘정관·난관 복원 시술비 지원사업’을 시행한다. 산모와 신생아들이 건강하게 지낼 수 있도록 오는 8월 중 웅천동 여수예울병원 내 ‘전남공공산후조리원’도 개원한다.

생애주기별 1인 가구 지원도 강화해 연령, 혼인 여부, 소득수준 등을 기반으로 노인 맞춤형 돌봄서비스 등 19개 사업도 추진한다.

지난해 말 기준 관내 1인 가구는 12만 8306세대로, 전체 세대의 41.5%를 차지했다. 최근 3년간 전체 인구수는 감소했지만, 1인 가구 비율은 꾸준히 증가한 것이다. 특히 이 중 60세 이상 1인 가구는 2만5752명으로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이에 시는 65세 이상 독거노인을 위한 일상 돌봄 지원으로 ‘어르신지킴이단 운영’, ‘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노노케어(사회활동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1인 중장년을 대상으로는 ‘우리동네복지기동대 운영’과 ‘찾아가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등을 마련했다.

이외에 여성 1인 가구의 안전 지원을 위해서는 ‘안심택배함’과 ‘여성안심콜센터’, ‘여성안심귀갓길조성사업’ 등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여수시 관계자는 “저출생 고령화, 사회적 이동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애주기에 따른 체계적인 지원이 중요하다”며 “실제 거주하는 시민들에 대한 혜택은 늘리고, 청년인구 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여수=이경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