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민섭 취재2부 기자 |
광주와 전남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현상은 20대 청년들의 급격한 유출이다. 광주에서는 순유출 인구의 41.5%, 전남에서는 67.1%가 20대였다. 이는 그들이 성장 가능성과 기회가 부족한 고향을 떠나, 더 나은 미래를 찾아 수도권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같은 현상은 지역이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20대는 교육과 취업, 그리고 더 나은 삶을 위해 떠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이탈은 단순히 개인의 선택이 아닌, 지역 사회의 문제이자 지방소멸의 서막이다.
청년들이 떠나는 이유는 명확하다. 지역 내에는 양질의 일자리와 교육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청년들이 지역에 머물고 싶어도, 그곳에서 미래를 꿈꿀 수 있는 기반이 부족하다면 당연히 떠날 수밖에 없다.
지방의 인구 유출 문제는 단순한 지역 문제가 아니다. 이는 국가 전체의 균형 발전을 저해하고, 나아가 비수도권의 소멸을 앞당길 수 있는 위기 상황이다. 특히 청년층의 수도권 집중은 지역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약화시키고, 장기적으로는 지역 사회의 존속 자체를 위협한다. 정부는 이러한 현상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 수도권과의 격차를 줄이고, 지방에서도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이 시급하다.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대책은 인프라 확충만으로는 부족하다. 청년들이 원하는 것은 단순히 물리적인 시설이 아닌, 질 높은 일자리와 교육 기회다. 정부는 지역 특성에 맞는 산업을 육성하고, 청년들이 지역에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예컨대, 창업 지원이나 혁신 산업 육성, 지역 대학과의 연계 프로그램 등을 통해 청년들이 지역에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