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유휴공간 아트벙커 조성사업 본격화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광주시
광주시, 유휴공간 아트벙커 조성사업 본격화
자치구별 공공·민간 22곳 선정
생활밀착형 문화예술공간 조성
음악·미술·쇼츠 프로그램 지원
워크숍서 사업 발전 방향 모색
  • 입력 : 2024. 05.28(화) 16:13
  • 노병하 기자 byeongha.no@jnilbo.com
광주시는 28일 ‘2024년 생활문화 아트벙커 스타트 워크숍’을 개최, 올해 아트벙커 사업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광주시 제공
광주지역 곳곳에 잠자고 있던 공간이 시민들의 일상 속 예술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28일 광주시에 따르면 올해 자치구별 아트벙커 공모를 진행해 공공·민간의 유휴공간 22개소(동구 3, 서구 6, 남구 3, 북구 5, 광산구 5곳)를 선정했다. 이 중 7곳은 우수 아트벙커로 선정돼 2년 연속 사업을 진행하며, 15곳은 새로 뽑혔다.

광주시는 지난해부터 공공·민간의 유휴공간을 거점으로 음악·미술·쇼츠·공예 등 주민이 스스로 기획하고 운영하는 일상 속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아트벙커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광주시는 자율성, 지속성, 개방성, 확장성을 원칙으로 다양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이날 ‘2024년 생활문화 아트벙커 스타트 워크숍’을 개최, 올해 아트벙커 사업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워크숍은 아트벙커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운영자 간 정보 공유와 소통을 위해 마련됐다. 워크숍에서는 2024년 선정된 22개소 아트벙커 운영자, 자치구 담당자 등 40여명이 참석했으며 △2024년 운영방향 설명 △아트벙커별 사업소개 △2023년 우수사례 발표 △분야별 네트워크 순으로 진행됐다.

우수사례 발표 시간에는 1년차 아트벙커의 성공사례 노하우를 공유하고 소통과 배움의 시간을 통해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했다.

아트벙커 프로그램에 참여를 원하는 주민은 자치구(동구 문화관광과 608-2402, 서구 문화예술과 360-7194, 남구 문화관광과 607-2314, 북구 문화예술과 410-6620, 광산구 문화예술과 960-8411)로 문의하면 된다.

김요성 문화체육실장은 “아트벙커가 생활밀착형 문화공간으로 성공적으로 정착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많은 시민이 일상 속 생활문화를 통해 삶의 즐거움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노병하 기자 byeongha.n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