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7년까지 광주·전남 인구 18만2천명 감소한다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경제일반
2037년까지 광주·전남 인구 18만2천명 감소한다
호남통계청, 지역 생활권역 분석||15년 후 전체 인구 305만여명 전망||65세 이상 34.8% 초고령사회 진입||1인 가구·빈집 증가… 대책 서둘러야
  • 입력 : 2022. 11.24(목) 15:56
  • 곽지혜 기자
광주·전남지역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해 15년 뒤인 2037년이면 5.6%가량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특히 목포, 장흥, 강진 등 전남서남부권의 인구 감소가 두드러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반대로 고령인구와 1인 가구, 빈집 비율은 지속적으로 늘어나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지역 위기 대책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24일 호남통계청이 발표한 '광주·전남 생활권역 통계분석'에 따르면 광주·전남지역 인구는 지난해 323만6000명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해 오는 2037년에는 305만4000명으로 전망됐다.

이번 생활권역 통계분석은 광주·전남지역을 광주·나주·담양·화순 등 광주대도시권과 목포·장흥·강진·해남 등 전남서남부권, 여수·순천·광양·곡성 등 전남동부권 3개 권역으로 나눠 인구, 산업, 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분석한 자료다.

광주대도시권의 경우 -5.3%, 전남동부권은 -5.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으며 전남서남부권은 -7.7%로 가장 큰 인구감소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광역시와 인접 시군이 밀접한 대도시권과 산업단지 등이 밀집한 전남동부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어촌 지역이 많고 도서권역이 포함된 전남서남부권의 인구감소가 두드러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광주·전남지역 고령인구 비율은 지난해 19.5%에서 2037년에는 34.8%로 상승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됐다. 초고령사회는 전체 인구 중 고령인구(65세 이상)가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일 때를 말한다.

전남서남부권과 전남동부권은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광주대도시권은 2025년 무렵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전남서남부권의 경우 2037년 고령인구 비율이 40%를 초과하는 유일한 생활권으로, 3개 생활권 중 고령화가 가장 심각할 것으로 보인다.

고령사회에 진입할수록 광주·전남지역 총부양비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46.3명(유소년 17.8명, 고령자 28.5명)에서 2037년에는 무려 79.3명(유소년 17.0명, 고령자 62.3명)으로 2배 가까이 늘어나게 된다.

노령화지수도 지난해 159.9명에서 15년 뒤 366.8명으로 2.3배가량 증가해 2037년 전남서남부권 고령인구는 유소년인구에 비해 4배 이상 많아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1인 가구 비율도 꾸준히 상승해왔다. 광주·전남지역 1인 가구 비율은 2000년 19만1000가구(17.8%)에서 2005년 32만가구(26.7%), 2010년 39만2000가구(30.3%), 2020년 45만1000가구(33.1%), 2021년 48만6000가구(34.9%) 등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특히 독거노인 가구의 경우 지난해 15만9000가구로 전체 일반 가구의 11.4%를 차지했다. 지난 2000년(6.9%) 대비 4.5%p 높아진 수치로, 2037년에는 10명 당 3명 이상이 고령인구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광주·전남지역 빈집 비율도 지난 2000년 5.8%에서 11.0%로 2배가량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광주·전남지역 빈집은 14만9000호다. 역시 광주대도시권에 비해 전남서남부권, 전남동부권의 빈집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광주·전남 합계출산율(가임여성 1명당)은 0.94명으로 1명이 채되지 않았으며 지난 2000년에 비교해서도 1.69명 대비 0.75명 감소했다. 지난해 혼인건수는 11만1000건으로 2000년 21만6000건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호남통계청 관계자는 "이번 생활권역 통계분석은 광주·전남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기초자료로서 향후 광주·전남지역의 균형발전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됐다"며 "고령화와 인구감소, 1인 가구 증가 등 사회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이 조속히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곽지혜 기자 jihye.kwak@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