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돈삼의 마을이야기> 담양 유천마을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이돈삼의 마을이야기
이돈삼의 마을이야기> 담양 유천마을
이돈삼 / 여행전문시민기자·전라남도 대변인실
  • 입력 : 2020. 01.09(목) 12:45
  • 편집에디터

녹천기념관

'봄날' 같은 소한(小寒)이 지나고 바람결이 거칠어졌다. 다시 찾은 겨울이다. 겨울은 유난히 추억이 그리운 계절이다. 그때 그 시절로 돌아가고픈 마음도 한번쯤 든다.

주전부리도 겨울에 많았다. 뜨끈뜨끈한 아랫목에 앉아서 도란도란 먹던 군고구마가 먼저 떠오른다. 생각만으로도 입안에 침이 고인다. 엿과 인절미, 풀빵, 보리개떡도 잊을 수 없다. 가난해서 부족했고, 그래서 불편했던 시절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지독했던 가난과 불편마저도 그리움이다.

겨울 주전부리 가운데 하나가 엿이다. 엿은 헌책과 바꿔먹을 수 있었다. 어쩌다 공사장 언저리에서 쇳조각이라도 주우면 '횡재'한 느낌이었다. 빈 병이나 닳아진 고무신도 엿장수가 반겼다. 부러, 새 신발을 찢어서 엿하고 바꿔먹기도 했다.

엿은 언제나 꿀맛이었다. 입에 달라붙어도 좋았다. 손이나 옷에 묻어 찐득거려도 괜찮았다. 많이만 먹을 수 있으면 그만이었다.

엿치기도 흥미진진한 놀이였다. 기다란 엿을 서로 맞부딪혀서, 구멍의 크기를 대보는 내기였다. 엿의 구멍이 큰 쪽이 이겼다. 엿의 생명은 '구멍'이라는 말도 회자됐다. 구멍이 크면 바삭바삭 맛도 더 있었다. 찌꺼기도 입안에 남지 않았다.

추억 속의 엿을 찾아 길을 나선다. '슬로시티' 담양 창평이다. 지금도 옛 방식대로 엿을 만들고 있는 곳이다. 쌀엿은 한과, 된장과 함께 창평을 '슬로시티'로 만들어 준 슬로푸드다.

남극루 건너편, 유천마을로 간다. 남극루는 북을 쳐서 현감이나 현령의 출·퇴근을 알리던 누각이다. 월봉산에서 시작된 월봉천, 운암천, 유천 등 3개의 물줄기가 모이는 삼지내(삼지천)마을과 마주하고 있다.

골목까지 넘실대던 단내가 코끝을 간질인다. 추억의 엿이라는 걸 직감한다. 단내를 좇아가니, 예상대로 갱엿을 달이고 있다. 오래 전부터 전통의 쌀엿을 만들고 있는 강순임 씨 집이다.

쌀엿 만들기는 겉보리를 씻어 엿기름을 만드는 작업으로 시작된다. 엿기름에다 고두밥을 섞어 식혜를 빚고, 식혜를 숙성시켜 즙을 짠다. 식혜즙을 가마솥에 넣어 달이면 조청이 된다. 조청을 계속 달이면 갱엿으로 변한다. 어렸을 때 먹던 누런 엿이다.

물크러진 갱엿을 조금씩 떼어내 쭈욱-쭈욱- 늘이면 하얀 쌀엿이 된다. 물수건을 올려놓은 화로 위에서 늘이면 적당한 크기의 구멍도 생긴다.

엿을 만드는 일은 생각보다 고되다.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과정이 수작업이다. 전통을 지킨다는 사명감도 있어야 한다. 소득은 그 다음의 문제다.

강 씨는 여러 가지 색깔과 맛의 쌀엿을 만든다. 블루베리, 아로니아를 넣으면 분홍빛깔의 엿이 된다. 댓잎을 더한 연녹색의 엿도 있다. 백련초, 단호박을 넣은 것도 있다. 따로 주문을 하면 고객이 원하는 엿을 다 만들어준다.

이왕이면 다홍치마이고, 보기 좋은 떡이 맛도 좋다 했던가. 컬러의 쌀엿을 마주한 눈이 화들짝 빛난다. 눈으로만 먹는데, 입안에서 군침이 돈다. 맛도 색깔 따라 다르다. 바삭바삭하고, 입에도 달라붙지 않는다.

"어떻게 하면 모두가 좋아하는 엿을 만들까 고민했어요. 남녀노소 다…. 우리 몸에 더 좋고, 색깔도 이쁘면 좋겠다 생각했죠. 갖은 농산물을 가미해서 엿을 만들어봤어요. 그게 컬러 엿이에요. 특허를 받았습니다."

강 씨의 말이다. 블루베리를 가미한 엿 한 토막을 입에 넣고 오물거리면서 다시 길을 나선다. 유천마을은 겉보기에 별날 것이 없다. 산 밑으로 논밭이 펼쳐지는 평범한 농촌이다.

속내를 들여다보면 사뭇 다르다. 쌀엿과 함께 전통 된장으로 '슬로시티'를 더욱 빛내는 마을이다. 종가의 장맛을 잇고 있는 기순도 식품명인도 이 마을에 산다. 기 명인은 된장과 간장, 고추장은 물론 청국장, 장아찌까지 만든다. '음식의 맛은 장에서 나온다'는 말을 실감케 하는 집이다.

유천(柳川)마을은 1400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마을의 지형이 버드나무를 닮았다고 '유천'으로 이름 붙었다. 인조가 월봉 고부천을 만나려고 세 번 찾아 '인조대왕 삼고초려리'라고도 불렸다. 월봉은 학봉 고인후의 둘째 아들이다.

유천마을은 학봉의 처가이기도 하다. 학봉은 제봉 고경명의 둘째 아들이다. 제봉과 학봉은 임진왜란 때 금산전투에서 순절했다. 이후, 학봉의 자손들이 여기 외갓집에서 살았다. 창평에 터를 잡은 장흥 고씨의 시조다.

학봉의 사손(使孫)인 녹천 고광순도 한말 의병장으로 활약했다. 녹천은 민비 시해사건 때, 또 을사조약 이후 의병으로 나섰다. 장기전을 준비하며 지리산 피아골로 옮겨 의병활동을 하다가 숨졌다. 12대 할아버지 제봉이 금산전투에서 순절한 나이 60살과 같았다. 녹천의 집도 일본군이 불태워 버렸다.

마을에 고광순 기념관이 있다. 머지않아 광복이 될 것이라는 의미를 담은 '불원복기'를 만날 수 있다. 혈서로 태극기에 불원복(不遠復)을 써놓았다. 원본은 독립기념관에 전시돼 있다.

기념관 뒤편에 조선오란 호국충혼탑도 있다. 정묘호란, 임진왜란 등 5대 란에 참가해 순절한 의사들을 기리는 탑이다.

"우리 마을 자랑이요? 전통 쌀엿과 된장이 첫 손가락에 꼽히죠. 주민들의 자긍심도 아주 높아요. 문과와 무과에 급제한 학봉 할아버지 자손만도 서른 분이나 되거든요. 다들 나라를 위해 큰일을 하셨고, 헌신한 분들입니다. 건재 김천일 의병장도 우리 마을 출신이에요."

고재한 마을 이장의 목소리에 힘이 잔뜩 들어가 있다.

마을에서 숲길로 이어지는 월봉산 자락 상월정(上月亭)도 애틋하다. 상월정은 풍류 공간이 아닌, 인재양성에 목적을 둔 학숙이었다. 요즘말로 산속 고시원이다. 상월정으로 오가는 숲길도 다소곳하다. 싸목싸목 걸으면 더욱 좋은 길이다.

이돈삼 / 여행전문시민기자·전라남도 대변인실

녹천기념관

녹천기념관-불원복기

상월정

상월정

상월정

상월정으로 가는 숲길

상월정으로 가는 숲길

상월정으로 가는 숲길

쌀엿

쌀엿

쌀엿

쌀엿제조-고두밥

쌀엿제조-식이기

쌀엿제조-식혜즙 만들기

쌀엿제조-엿기름

쌀엿제조-장작가마솥

쌀엿제조-장작가마솥

월봉 고부천 기념비

월봉 고부천 기념비

유천마을 유래비-마을입구 (1)

유천마을회관

조선오란 호국충혼탑

조선오란 호국충혼탑

조선오란 호국충혼탑

컬러쌀엿

컬러쌀엿

컬러쌀엿

학봉사당-학봉 종갓집

학봉사당-학봉 종갓집

편집에디터 edit@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