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권 미래차국가산업단지 조성 사업’ 속도 낸다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광주시
‘광주권 미래차국가산업단지 조성 사업’ 속도 낸다
●정부, 비수도권 그린벨트 해제
광산구 등 규제 풀어 산단 개발
2031년 RE100 미래형 산단 가동
일자리 1만개·2조원 생산유발효과
  • 입력 : 2025. 02.25(화) 16:36
  • 노병하·오지현 기자
강기정 광주시장이 지난 23일 광산구 미래차 국가산단을 방문해 현장을 둘러보고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전남지역의 미래차국가산단 조성 사업이 국가전략사업으로 최종 확정됐다.

그동안 걸림돌이 됐던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규제가 해소돼 국가산단 조성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25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이날 국무회의에서 ‘광주 미래차국가산업단지 조성 사업’이 국가전략사업으로 의결, 확정됐다.

국가전략사업은 국가산단이나 국토부장관이 지정하는 물류단지 조성 사업으로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지정한다. 국가전략사업으로 지정되면 개발제한구역 규제혁신에 따라 환경평가 1·2등급지의 개발이 가능하고, 그린벨트 해제 총량에서도 제외된다.

미래차국가산단 예정부지는 102만평(338만4000㎡) 가운데 95.6%인 98만평(323만4000㎡)이 그린벨트로 묶여 있다. 특히 이 중 25만평(81만7000㎡)은 환경평가 1·2등급지로 개발이 불가능한 곳이었다. 그린벨트 규제를 풀지 못하면 산단개발 자체가 불가능했던 것이다.

이번 정부 결정으로 걸림돌이 사라진 광주시는 미래차국가산단을 단순한 산업중심지로서의 역할을 넘어 RE100 실현을 위한 미래형 산업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산단에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발전 인프라 구축, 전력저장시스템(ESS)과 스마트그리드 적용을 통해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스마트 그린산단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미래차국가산단은 또 빛그린국가산단, 진곡산단과 연계한 220만평 규모의 미래차 삼각벨트인 ‘미래차 소부장특화단지’로 구축된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미래차국가산단이 본격 가동되면 지역 생산유발효과 약 1조7384억원과 1만1829명의 고용 유발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광주시는 미래차국가산단의 국가전략사업 지정에 따라 올해 개발제한구역 해제 절차를 진행하고, 2026년 산업단지 계획 승인과 고시를 거쳐 2027년 토지보상 협의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후 보상이 완료된 부지부터 착공에 들어가고 2031년 공사를 마치고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미래차국가산단이 국가전략사업으로 선정된 것은 광주 경제의 한축을 담당하는 미래모빌리티산업 성장의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정부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신속하게 국가산단 조성사업을 추진해 대한민국 미래모빌리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높이겠다”고 밝혔다.

전남에서는 장성과 담양이 그린벨트 해제가 가능한 비수도권 국가·지역전략사업 으로 선정되며 중장기 지역경제 발전에도 청신호가 커졌다.

광주와 함께 그린벨트가 해제된 담양 제2일반산단은 오는 2029년까지 봉산면 일원 75만5780㎡부지에 1911억원을 투자해 미래차 관련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담양군은 ‘활력이 넘치는 경제도시 건설’을 목표로 미래성장산업을 육성하고 투자하기 좋은 산업 환경 조성을 위해 산단 조성을 추진했으며, 이번 선정을 통해 2346억 원 가량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광선 군수 권한대행은 “담양형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발전을 견인하고 지역의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또 국가 전력사업으로 지정된 ‘장성 나노기술 제2일반산업단지’는 장성군 진원면과 남면 88만2343㎡일원에 오는 2031년까지 총 3695억원을 들여 나노 제2산단을 구축, 산업시설 용지를 확보할 예정이다.

장성군은 이번 지정을 통해 인근 나노기술 일반산업단지와 광주연구개발특구 첨단3지구와 연계한 산업 클러스터 형성으로 지방 소멸 대응 및 지역 발전 견인에 대한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김한종 장성군수는 “이번 장성 나노기술 제2일반산업단지 지정은 장성의 미래 경제지도를 바꿀 것”이라며 “이를 통해 미래 산업시장을 선도할 기업투자 환경 조성 및 일자리 창출과 인구 유입 유도로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문인기 전남도 건설교통국장은 “이번 사업 선정은 개발제한구역의 효율적 활용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 인구 유입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이 중요하다”며 “앞으로 정부에 그린벨트 전면 해제 등 거주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규제 개선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노병하·오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