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의 AI(인공지능) 기반 로봇 플랫폼 전문 기업 A사와 AI 기반 솔루션 기업 B사의 이야기를 통해 AI 기반 스타트업들이 제품과 서비스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어떤 환경과 지원이 필요한가에 대해 알아봤다. |
먼저 로봇 서비스 기업 A사는 로봇을 가동할 수 있는 ‘공간’, 즉 테스트베드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로봇 시스템의 성능과 안정성을 검증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대규모 테스트 공간 확보가 절실하다는 것이다. 특히 AI 기반 로봇 및 자율주행 기술은 반복적인 실험과 데이터 수집을 통해 성능을 개선하는 과정이 중요해 물리적 환경에서의 충분한 테스트가 이뤄지지 않으면 기술 발전에 한계가 있다.
하지만 초기 스타트업들이 이러한 테스트 공간을 구축하기에는 자금 부담이 크다. 공공 인프라나 기존 연구 시설은 그 수가 부족하거나 주로 기본적인 연구 환경에 집중돼 있어 산업 특성에 맞춘 맞춤형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A기업 대표는 “객체 인식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를 학습시키고 적합한 모션을 도출하는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건설 산업용 로봇을 개발한다면 현장의 천장 높이, 벽면 상태, 작업 공간의 변화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테스트가 필수적이다”며 “건설 현장에서 이를 테스트하려 해도 건설사·시공사들은 공사를 빠르게 마무리해야 하므로 테스트 시간과 환경이 충분하지 않아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인증 비용 부담도 AI 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AI 솔루션 기업 B사는 기술 기업들이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가 특정 기준을 충족하고 있음을 입증하기 위해 공인 시험성적서 및 인증서를 발급받아야 하는데, 초기 스타트업의 경우 비용 문제로 기술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이를 입증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인증 항목과 인증 기관에 따라 다르지만, 품질 인증·환경 인증·안전 인증 등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인증을 받고자 할 경우 인증서 발급에 드는 비용은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에 달하게 된다.
B사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특허 지원 확대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해외 특허 출원과 등록 과정에서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초기 스타트업이 해외 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해외 특허를 출원한 후에도 유지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B사 대표는 “기업이 기술력을 입증받고자 하는 항목이 많아도 비용 문제로 모든 인증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해외 특허의 경우 국가마다 법률 및 비용이 달라 많은 자원과 시간이 요구된다. 특허 전문 업체 의뢰 비용도 상당하다”며 “이에 대한 비용 지원과 법률 자문 지원 등이 이뤄진다면 AI 기반 스타트업들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나다운·박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