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소각장 입지 선정 '골머리'…후보지 주민 반발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광주시, 소각장 입지 선정 '골머리'…후보지 주민 반발
매월동·장등동·삼거동 3곳
오염물질 등 건강권 침해 이유
다음달 최종 후보지 윤곽
  • 입력 : 2024. 06.17(월) 18:45
  • 박찬 기자 chan.park@jnilbo.com
17일 광주시청 앞에서 석곡동주민자치회가 ‘장등동 쓰레기 소각장 유치 반대’ 집회를 하고 있다. 뉴시스
광주시가 자원회수 시설(소각장) 후보지 선정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입지 선정위원회가 2030년부터 시행되는 생활 쓰레기 직매립 금지 조치에 대비해 예비 후보지로 선정한 서구 매월동, 북구 장등동, 광산구 삼거동 등 3곳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기 때문이다.

평가 지표에는 민원 항목도 포함됐는데 해당 지역 주민들은 일제히 반발하고 나섰다.

삼거동에서는 가장 먼저 대외적인 반발이 시작됐고 매월동 주민들과 장등동 주민들은 17일 오전과 오후 각각 광주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어 소각장 건립 추진을 밀실 행정이라 주장하며 강하게 반대했다.

공모는 부지 면적 6만6000㎡(자연녹지 지역 기준) 이상 확보할 수 있는 곳으로 신청 부지 경계로부터 300m 이내 주민등록상 세대주를 대상으로 50% 이상 동의를 얻은 자치구, 개인, 문중 대표, 단체 등을 지원 대상으로 했다.

하지만 근거리 주민들의 절반 이상 동의를 얻었다 해도 쓰레기를 태우며 나오는 연기, 오염 물질로 생기는 환경적 영향이나 건강권 침해 등을 이유로 반대하는 경계 밖 주민들이 많은 상황이다.

당초 입지 공모에는 7곳이 지원했으나 1곳은 철회했고, 3곳은 주민 동의서 등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

광주시는 용역 기관이 남은 3곳에 대해 사회적 영향, 경제성, 입지 요건 등을 분석한 뒤 그 결과를 토대로 최적의 장소를 찾으면 적정성 분석 후 다음 달 중순께 최종 후보지를 선정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예비 후보지 주민들의 강한 반발로 인해 공모를 통한 선정이 불발될 경우 광주 전 지역을 대상으로 입지를 직접 물색하는 ‘직접 선정’ 방안도 추진될 수 있다.

하지만 ‘직접 선정’은 ‘지원 응모’ 방식보다 더 큰 민원을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돼 입지 선정은 순탄치 않아 보인다.

2029년까지는 시설을 준공해 2030년 가동해야 하는 만큼 광주시가 어떤 돌파구를 마련할지 주목된다.

광주시 관계자는 “안정적인 생활 폐기물 처리를 위해선 자원회수 시설 건립은 필수”라며 “주민 친화형, 친환경, 지역 명소화를 원칙으로 입지를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박찬 기자 chan.park@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