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일보]데스크칼럼>설 민심 허투루 여겨선 안 된다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데스크칼럼
[전남일보]데스크칼럼>설 민심 허투루 여겨선 안 된다
최권범 취재1부 선임부장
  • 입력 : 2024. 02.15(목) 14:04
최권범 부장
설 명절 연휴가 끝나면서 본격적인 총선 모드에 돌입했다. 각 정당마다 본선과 경선 후보들의 윤곽이 속속 드러나고 있고, 오는 21일부터는 재외선거인 명부 작성도 시작되는 등 사실상 4·10 총선이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 설 연휴를 기점으로 광주·전남지역 총선판은 크게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부터 선거 판세의 변곡점이 될 총선 이슈가 줄을 이을 것으로 전망되서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6일 1차에 이어 15일 컷오프를 포함한 2차 경선 지역구를 발표했다. 가장 관심을 모으고 있는 현역의원 평가 하위 20% 대상자에 대한 개별 통보도 진행될 것으로 보여 반발 의원들의 탈당 여부에도 귀추가 주목된다. 앞서 설 연휴 첫날인 지난 9일 합당을 발표한 제3지대 신당인 이낙연·이준석의 개혁신당도 광주·전남 총선의 변수 중 하나로 급부상했다.

지난 나흘간의 설 연휴기간 이번 22대 총선 예비후보자들은 발이 부르트도록 지역구 구석 구석을 뛰어 다녔을 것이다. 설 명절은 민심의 향방을 가늠하는 척도이기 때문이다. 총선 결과의 답도 이미 설 민심에 담겨 있다. 예비후보들이 지역민심을 제대로 파악했는지 사뭇 궁금하다. 이들이 민심을 온전히 전해 들었다면 예전과는 분위기가 달라졌다는 것을 온몸으로 느꼈을 것이다. 지역민심은 그야말로 싸늘하다. 최악의 경제 상황으로 민생의 고통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윤석열 정부와 여당에 대한 평가는 바닥이고, 제1야당인 민주당에 대한 불만 역시 팽배하다. 민생은 아랑곳 하지 않는 거대 양당간 극단의 대결 등 구태정치로 인해 정치불신을 넘어 정치혐오 현상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지역 유권자들은 이번 총선을 통해 정치혁신을 기대하고 있다. 여느 선거때와 마찬가지로 이번 총선에서도 민주당의 텃밭인 광주·전남에서는 민주당의 독주현상이 불가피해 보인다. 이같은 기득권에 안주해서인지 민주당과 지역 예비후보들에게선 이렇다 할 총선 전략을 찾아볼 수 없다. 민생경제는 물론 지역현안 해결과 지역발전을 위한 정책 경쟁은 온데간데 없고 오직 정권 심판론에 따른 반사이익과 공천심사 결과에만 관심을 두고 있는 모양새다. 민주당은 공천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그 나물에 그 밥’일 뿐 눈에 띄는 인적 쇄신도 없다. 대신 광주·전남 지역구 곳곳에서는 경선후보 발표를 앞두고 예비후보들간 비방과 흑색선전, 고소·고발 등 진흙탕 싸움만 확산되고 있다. 또 저마다 ‘친명(친이재명)’이라며 이재명 당 대표를 앞세운 총선 마케팅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 본선행 티켓을 잡기 위한 이전투구 행태는 그들만의 리그일 뿐 유권자들에겐 그저 한심해 보일 따름이다.

미국 미시간대학이 유권자들의 투표행태를 연구한 선거 모델에 따르면 유권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3대 요인은 ‘정당 일체감’과 ‘인물’, ‘정책’이다. 이 가운데 정당 일체감은 특정 정당을 대상으로 오랜 기간 내면적으로 간직하고 있는 애착심을 의미하는데, 대표적인 예로 호남과 민주당의 관계를 들 수 있다. 과거 선거에서는 정당 일체감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지만 최근 들어선 인물과 정책을 더 중요하게 따지는 추세다. 특히 2030세대 유권자들에겐 더욱 그러하다. 과거 세대와 달리 획일적인 투표를 하지 않는다. 이제 민주당은 지금껏 당연시 여겼던 ‘경선 승리는 곧 본선 당선’, ‘깃발만 꽂으면 당선’이라는 오만함을 떨쳐내고 얼마나 참신하고 경쟁력 있는 후보와 공약을 내세울지를 고민해야 한다는 얘기다. 광주·전남 유권자들은 진정으로 지역민을 대변하고 지역발전을 이끌어낼 후보를 원하고 있다. 당 지도부의 입김이 아닌 유권자의 의중이 반영돼야 한다. 철저한 검증을 통해 후보를 정하고, 후보들은 유권자의 마음을 움직일 비전과 혁신 방안을 놓고 경쟁해야 한다. 이번 설 민심은 지역발전을 위해 헌신하고 봉사할 일꾼을 찾아내라는 지엄한 명령이었다. 유권자 심판의 날이 이제 두달도 채 남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