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일보]최철의 오페라 오디세이>“최고의 대본을 쫓는다”… 새 작품에 대한 열망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최철의 오페라 오디세이
[전남일보]최철의 오페라 오디세이>“최고의 대본을 쫓는다”… 새 작품에 대한 열망
<푸치니 서거 100주년-③푸치니의 대본가>
대본가들과 공동 참여, 음악·문학 연결
폰타나 조력, 데뷔작 ‘요정 빌리’ 탄생
오페라계 큰손 리꼬르디 후원 ‘승승장구’
일리카·자코사와 오페라 부흥기 이끌어
  • 입력 : 2024. 02.01(목) 17:57
푸치니와 함께 ‘황금의 시대’를 이끈 두 대본가 일리카(우측)와 자코사(가운데).
서거 100주년을 맞이하는 오페라 작곡가 푸치니는 “나는 정열의 사냥꾼이다. 먼저 거위를 쫓고, 최고의 오페라 대본을 쫓고, 매력적인 여성을 쫓는다!”라는 말을 했다. 지난 연재에서는 매력적인 여성을 쫓는 푸치니, 막장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틱한 그의 가정사와 여성 편력을 다루며, 그의 작품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이번엔 ‘최고의 오페라 대본을 쫓는’ 푸치니의 모습을 살펴보려 한다.

푸치니 오페라의 대본은 이탈리아의 문학보다는 프랑스나 독일, 미국 등의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단테의 <삼부작>, <잔니 스끼끼>와 <수녀 안젤리카>를 빼놓고는 거의 이탈리아 이외의 문학작품과 희곡에 관한 관심이 깊었으며 새로운 소재에 대한 열망을 오페라에 투영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푸치니는 대본가의 추천이나 극장에서 의뢰를 받은 작품도 있었지만, 그의 주요 작품의 대본은 거의 자신이 선택하고 대본가와 함께 작업에 참여했다. <마농 레스코>와 <라 보엠>은 소설을 통해 <토스카>, <나비 부인>, <서부의 아가씨>, <외투>는 연극을 통해 자신이 직접 발굴한 작품 소재들이다. 푸치니는 오페라 대본 작업에 늘 세심한 관심을 보였으며 대본가들과 항상 공동으로 참여하여 음악과 문학을 연결하며 성공적으로 성취해나갔다.

푸치니는 첫 작품은 대본료가 없어 작품을 올리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모습을 안타까워하던 푸치니 스승인 폰키엘리의 도움으로 대본가 폰타나를 소개받게 되었고, 그들의 조력으로 푸치니의 데뷔작이 탄생하게 된다. 그의 첫 작품 오페라 <요정 빌리>, 그리고 이어서 <에드가르>를 폰타나와 함께 작업하였다. 그러나 이 두 작품은 음악적인 요소보다는 탄탄하지 못한 대본으로 인하여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지만, 음악의 완성도를 높이 산 당시 오페라 제작계의 가장 큰손인 리꼬르디와 만날 수 있었고 훗날 리꼬르디의 후원 아래 승승장구하게 된다. 푸치니는 두 작품을 통해서 대본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음악 못지않게 심혈을 기울여야 할 분야가 대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한국이 드라마 강국인 이유가 무얼까? 근래 한국의 K드라마는 지역과 언어, 인종을 뛰어넘어 세계인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으며, 특히 새로운 미디어 매체인 OTT 시장이 확대되며, 한류 드라마는 확장일로를 걷고 있다. 대부분의 한류 영화나 드라마 성공의 공식을 보면, 소재와 더불어 유명 작가의 대본이 성공의 가장 주요한 부분으로 인식되며 특징으로는 탄탄한 스토리와 폭넓은 소재들이 잘 녹아들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당시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던 오페라 분야 역시, 가수들의 비루토오적인 수려함과 음악에 의존하던 분위기가 이제 도래한 사실주의 오페라 시대와 함께 신선한 소재와 더불어 좀 더 세밀한 필치로 잘 짜인 구조의 대본이 성공을 가늠한다는 것을 푸치니가 인식한 것이다. 대본의 미약함으로 실패를 맛보았던 푸치니는 심기일전하여 오페라 <마농 레스코>를 준비했다. 이 작품은 오늘날의 천재 오페라 작곡가 푸치니의 명성을 처음 얻게 해준 작품이다. 프랑스 소설가인 아베 프레보의 <기사 데 그뤼와 마농 레스코 이야기>를 기초로 루제로 레온카발로, 마르코 프라가, 도메니코 올리바, 루이지 일리카, 주세페 자코사가 푸치니와 대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함께 했다. 훗날 푸치니는 이들 중 루이지 일리카와 주세페 자코사와 함께 푸치니의 3대 오페라로 불리는 <라 보엠>, <토스카>, <나비부인>을 제작하였으며, 엄청난 인기와 더불어 당시 이탈리아 오페라의 부흥기를 이끈 푸치니, 일리카, 자코사를 일컬어 ‘황금의 삼총사’라고 불렀다. 1895년부터 1903년 사이에 작곡된 이들 작품의 성공은 대본가 일리카와 자코사의 역할이 뛰어났기 때문이다. 이 두 대본가는 푸치니와 함께 대단한 응집력을 자랑했다. 그들은 까다로운 푸치니의 의도에 맞게 대본 작업을 같이해 나갔으며, 푸치니와의 잦은 마찰에서도 서로의 충분한 의견 교환을 통해 푸치니가 원하는 대본을 완성 시켰다. 일리카와 자코사는 역할이 각각 분담되어있었다. 일반적인 대본 작가 외에 시적 표현을 담당하는 작가로 역할을 달리 한 것이다. 일리카가 만든 스토리에 자코모가 시적 아름다움으로 감성을 풍부하게 울렸다는 것이다. 푸치니는 대본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대본가들에게 많은 요구를 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하며, 이로 인해 심한 분쟁 때문에 갈라설 정도였다고 전해진다. 이럴 때마다 적극적으로 대본가를 소개한 리꼬르디가 개입하여, 다툼을 조정하였다고 한다.

푸치니(가운데)와 레나토 시모니(왼쪽), 주세페 아다미(오른쪽).
푸치니는 오페라 <나비부인>을 끝으로 일리카, 자코사와 결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후 푸치니는 새로운 도전과 완숙기인 1910년부터 자신이 생을 마감하는 1924년까지 새로운 대본가들과 작품을 만들었다. 리꼬르디는 카를로 찬가리니와 구엘포 치비니니를 푸치니에게 소개했다. 푸치니는 이 둘의 공동 작업의 산물로 <서부의 아가씨>를 작곡했다. 푸치니는 이어 쥬세뻬 아다미의 대본으로 <제비>와 <외투>를 탄생시켰다. 이어서 조바끼노 포르차노의 대본으로 <수녀 안젤리카>와 <잔니 스끼끼>를 작곡했다

푸치니는 항상 새로운 소재를 찾았다. 그러기 위해 여러 소설을 접했을 뿐만 아니라, 그는 특히 연극 관람을 즐겨 했다고 한다. 그리고 그 작품에서 발견한 뮤즈를 작품에 자신이 의도대로 대본에 담아낼 수 있도록 주문하였다. 푸치니는 자신의 오페라에 관하여 완벽주의자였다. 그래서인지 대본 안에 수많은 지시어를 집어넣어 자신이 생각하는 무대와 배우들의 움직임 그리고 음악적 표현까지 과하다 할 정도로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출연진 캐스팅부터 연출을 비롯한 전 제작 과정에 참여하여 자신의 의도대로 작품이 올려지도록 요구했다. 그가 제작 과정에서 하는 무리한 요구와 간섭은 제작진들과 잦은 마찰을 일으켰지만, 결과를 놓고 봤을 때 그가 흥행술사로 불릴 만큼 이루어낸 성공은 거의 광기에 가까울 정도로 작품에 몰입하는 그의 유별난 성격 때문은 아닐까?

대본가 루이지 일리카(왼쪽)와 푸치니
푸치니의 오페라 대본집을 읽어보면 오페라뿐만 아니라 연극이나 뮤지컬, 또는 영화나 드라마로 다시 제작된다 해도 부족함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일까? 브로드웨이 뮤지컬 분야를 휩쓸고 있는 <랜트>가 <라 보엠>을 현대화한 작품이며, 푸치니의 오페라 <나비부인>, <토스카>는 뮤지컬과 영화로 <잔니 스끼끼>는 연극으로 재탄생되어, 지금도 원작 오페라와 함께 대중의 사랑을 받고 있다.

푸치니에게 처음의 실패가 그에게는 평생 성공 가도를 달리게 하는 초석이 되었다. 무리할 정도로 대본에 집착하고 흥행할 수 있는 소재를 바라보는 탁월한 시선은 사후에도 그의 신화를 100년이 된 지금까지 써 내려가게 하고 있다. 그리고 훗날 우리에게도 탄탄한 스토리로 엮어진 대본과 소재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며 같은 공식으로 대중문화를 바라보게 만든다. 최철 조선대 초빙교수·문화학박사



푸치니의 가장 든든한 후원자인 줄리오 리꼬르디. 그는 푸치니에게 많은 대본가를 소개했다.
이탈리아 최고의 오페라 작곡가인 베르디와 푸치니의 후원자로 알려진 줄리오 리꼬르디(Giulio Ricordi, 1840~1912)는 이탈리아의 편집자, 제작자 음악가로, 1863년 세워진 가족 회사인 Casa Ricordi 음악 출판사 당시 회사 창립자 Giovanni Ricordi 의 아들이다. 푸치니를 발굴했을 뿐만아니라, 작곡가 폰키엘리(Amilcare Ponchielli) , 카탈라이(Alfredo Catalani), 고메스(Carlos Gomes), 죠르다노(Umberto Giordano)를 발굴하고 후원하였다. 유럽의 최고 음악 출판사 중 하나인 리꼬르디사는 위 작곡가의 판권을 가지고 있으며, 악보판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올려지는 위 작곡가 작품들의 음원 사용료를 통해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