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지난 5월 14일 해남군 해남읍 백야리 예비군 훈련장에서 신원미상의 유골 3구를 발견해 발굴작업을 진행했다.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제공 |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조사위)는 현재까지 광주교도소, 영암, 해남 등에서 발견된 유골이 5·18당시 희생된 민간인일 가능성이 높은만큼 행불자 찾기에 주력할 방침이다.
21일 조사위에 따르면 전날 2023 상반기 조사활동보고서를 발간, 5·18 당시 진압작전에 참가했던 계엄군이나 제보자로부터 가(암)매장을 직접 실행했거나 목격했다는 내용에 대한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사위는 올해 상반기에 광주교도소 11곳과 인근 1곳, 화순 너릿재터널 부근 1곳, 해남 군부대 인근 2곳, 영암공설묘지 2곳 등 총 17곳에 대한 지표조사를 실시했다.
현재까지 광주교도소 인근 야산에서 1구, 해남 백야리 예비군 훈련장에서 5구, 영암 학산면 공설묘지에서 6구, 총 12구를 발굴했다. 조사위는 오는 10월 말까지 그 결과를 확인할 예정이다.
이중 영암의 경우 지난 1993년 영암 학산면의 한 야산 공사장에서 매장된 6구의 시신을 발견한 관계자가 인근 공설묘지에 묻은 후 추후에 조사위에 제보하면서 알려졌다. 제보자는 당시 시신들의 옷차림이 청바지 등을 입은 것으로 보아 청년으로 추정되며 공통적으로 두개골에 총상으로 보이는 구멍이 나있었다고 증언했다.
조사위는 제보자의 증언을 토대로 현장 조사를 수 차례 한 결과 5·18과의 연관성이 있다는 것으로 보고 유전자 검출을 의뢰했다.
다만 영암은 1980년 5월 21일 시민군들이 영암경찰서의 무기고를 탈취하고 군서면·학산면·미암면의 경찰 지서를 무장한 채 장악하기도 했지만 총격전이 벌어진 적이 없어 해남 등 다른 지역에서 숨지거나 부상당한 민간인일 가능성이 높게 제기되고 있다.
조사위 관계자는 “가까운 해남부터 영광, 함평, 목포 일원에서도 총격전이 있었고 희생자의 시신이 꼭 작전지역에서만 발견된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며 “유해가 오래된 탓에 유전자 검출이 불분명하지만 최대한 사실관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 광주교도소 인근 야산에 묻혔던 여성 유해 1구와 해남의 유해 6구는 5·18 당시 숨진 민간인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광주교도소의 경우 지난해 3월 다량의 유골이 나왔으며, 발굴된 262구 중 검사가능한 160구를 확인한 가운데 1구가 행불자 유전자와 일치했기 때문이다. 또한 3공수여단으로부터 광주교도소 일원의 작전지역을 인계받은 20사단 2명의 병사로부터 당시 광주교도소 제3~4 감시대 사이에서 다수의 민간인 시체를 수습해 트럭에 실어 옮겼다는 진술을 조사위가 확보하면서 신빙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조사위는 옛 광주교도소 부지 솔로몬 로파크 공사 현장에서 발굴된 다량의 유해도 5·18 관련 여부와 신원 확인 등을 위한 유전자 추가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고도 전했다.
해남은 5·18 당시 육군 31사단 해남대대와 시위대의 3차례 교전이 벌어졌던 곳으로, 교전지와 가까운 곳에서 신원미상의 유해가 발견됐기 때문에 총격전에 희생당한 민간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5·18민주화운동 관련 행불자로 신고된 인원은 242명, 이중 84명이 행불자로 인정됐다. 조사위는 행방불명 인정자 84명 중 소재가 확인된 8명을 제외한 76명의 소재를 확인하고 불인정된 개별 신고자들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해 5·18과의 관련성을 확인할 방침이다.
김혜인 기자 hyein.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