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이슈 96-3> 있던 응급병원마저 폐업… 커지는 ‘의료 공백’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일주이슈
일주이슈 96-3> 있던 응급병원마저 폐업… 커지는 ‘의료 공백’
전남응급의료기관 4년간 4곳 폐업
응급실 운영적자 누적 “유지 한계”
의료취약지 17곳·응급전문의 부족
공공의료체계 유지 국가 지원 필요
  • 입력 : 2023. 04.23(일) 18:37
  • 최황지 기자
지난 3월20일 전남도의회 보건복지환경위원회는 농어촌의료취약지 지역응급의료기관 기관장협의회와 함께 응급의료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전남도의회 제공
전남에는 의료취약지로 분류된 시·군이 가장 많지만 필수 의료서비스 공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도민들의 생명줄인 응급의료체계가 경영난과 구인난으로 무너지고 있어 국가와 지자체의 적극적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23일 전남도 등에 따르면 전남지역응급의료기관은 지난 2017년 36곳에서 2019년 33곳, 지난 2021년 32곳으로 점점 줄어들고 있다.

병원들의 사정도 열악하다. 전남도내 농어촌취약지 지역응급의료기관 기관장협의회는 최근 “응급실 운영은 농어촌 의료복지의 중요한 한 축을 지탱하고 있으나 응급실 운영으로 매년 적자가 누적돼 응급실 운영이 한계점에 도달했다”며 “지금이라도 국가 및 지자체가 관심을 갖고 지속가능한 응급실 운영이 되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해당 협의회 소속 한 병원장은 “24시간 응급실 운영을 위한 의사를 구하지 못해 고령의 병원장들이 밤새 당직을 서며 환자를 돌보고 있는 데다가 심각한 경영난으로 대출도 막혀 운영의 한계점에 도달했다”면서 “지금 상태로는 10년 이내 농어촌 응급의료기관 대부분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전남은 도민 생명을 책임지는 응급의료나 필수의료서비스 자체 비중이 전국 최하위다. 의료서비스 공급이 부족하다보니 전남도 내에서 의료취약지로 분류된 지자체만 총 17곳에 달한다. 전국에서 가장 많다.

실제로 지난 2021년 기준 중앙응급의료센터가 발간한 응급의료통계연보에 따르면 전남도내 권역응급의료센터는 2곳(전국 38곳), 지역응급의료센터 3곳(전국 128곳), 지역응급의료기관 32곳(전국 238곳), 응급의료시설 12곳(전국 112곳)이다. 전남 응급의료기관 1곳당 응급의학전문의 수는 1.4명으로 전국 평균 4.2명보다 3명 가량 적다.

지역 내 소재 응급실 이용현황도 전국에서 가장 낮다. 응급환자들의 각 지역별 응급의료기관을 이용 비중을 살펴보면, 제주(97.0%), 대구(92.4%), 전북(91.9%) 등 응급환자 90% 이상이 지역에서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남도는 66.5%만이 전남도내 응급시설을 이용했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치며 중증급 환자들의 타 시·도 유출은 48.9%로 전국 최고 수준이다.

공중보건의사 등 의료인력의 농어촌 근무 기피도 심각한 문제다.

최근 전남지역 신규 공보의 수는 지난 2020년 637명에서 올해 586명으로 51명(8%) 줄었다. 현역병보다 긴 복무기간에 대한 부담 등 복합적 원인이 작용한 것이지만 의료인력의 거주환경 개선 등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전남도내 응급의료기관 협의회는 병원장 1인 당직근무가 지속될 경우 응급의료기관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없다며 국가와 지자체의 지원을 거듭 요청했다.

이들은 △응급실 전임 채용을 위한 지원 △병원의 의료인력 복지 향상을 위한 기숙사 사업 확대 △의료취약지 응급의료기관의 공중보건의 우선 배치 등을 주장하고 있다.

최선국 전남도의회 보건복지환경위원장은 “전남도는 전국에서 의료취약지가 17개소로 가장 많고 지방의료원도 의료인력 부족으로 진료과가 폐지되는 등 삼중고를 겪고 있다”며 “의사 증원 문제도 진척되지 않는 상황에서 공중보건의 감소는 농어촌 응급의료기관뿐만 아니라 공공의료 체계를 흔들고 있다. 국가 차원의 지원대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전남도와 함께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황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