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과학기술원은 27일 삼성전자주식회사와 반도체 공정 전문 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반도체공학과를 설치하기로 협약했다. 지스트 제공 |
27일 지스트에 따르면 이날 오전 박래길 총장직무대행, 조정희 대학장, 전창덕 연구원장, 삼성전자 송재혁 사장, 박승희 사장, 광주시 강기정 시장, 이형석 국회의원, 양향자 국회의원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오룡관에서 협약식을 진행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측은 △반도체 공정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반도체공학과 신설 및 운영 △반도체 공정 전문인력 양성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발굴 및 운영·지원 △반도체공학과 운영위원회 구성 및 운영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와함께 지스트는 오는 2024년부터 2028년까지 매년 30명씩 총 150명을 반도체공학과 학석사통합과정 학생으로 선발한다.
선발된 학생은 7학기의 학사과정과 3학기의 석사과정을 이수하게 되며, 이중 장학생으로 선발돼 삼성전자에 채용된 학생은 반도체 공정 전문 인력으로 양성된다.
이밖에도 이날 대구경북과학기술원(디지스트)과 울산과학기술원(유니스트)도 각 학교에서 삼성전자와 채용조건형 계약학과 신설을 위한 협약 체결을 진행했다.
이로써 삼성전자와 채용조건형 계약학과를 신설해 운영하는 학교는 전국적으로 성균관대, 연세대, 카이스트, 포스텍과 함께 3개 과학기술원(지스트, 디지스트, 유니스트)까지 총 7개 학교다.
지스트 박래길 총장직무대행은 “이번 협약이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지역 균형 발전과 창의적인 인재 양성에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며 “지스트의 우수한 교육·연구 자원과 삼성전자의 세계적인 기술력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재혁 삼성전자 사장은 “반도체 공정분야 전문인력이 부족한데, 광주를 거점으로 우수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국가균형발전 뿐만 아니라 반도체 인력양성 생태계 구축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기정 시장은 “수도권 중심으로 기업과 대학 간 계약학과가 생길 때마다 아쉬움이 컸지만 이번 협약을 계기로 광주에서 처음으로 반도체 계약학과가 생겼고, 지역 인재 성장의 여망이 현실화 됐다”면서 “여러 교육기관과 협력하고, 광주 인공지능(AI) 영재고 등 인재 양성 사다리를 완성하는 일에 멈춤없이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노병하 기자 byeongha.n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