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전남지역 올해 각 1개교의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휴교에 들어간다. 초등학교에 이어 중ㆍ고교 본교가 교문을 닫게 된 것은 이례적인 일로 농어촌지역의 교육 인프라 악화에 따른 지역소멸 가속화가 우려되고 있다. 29일 전남교육청에 따르면 2023학년도 3월 1일자로 휴교가 결정된 학교는 초교 3개교와 영암미암중, 고흥영주고 등 총 5개교이다.특히 중학교와 고등학교 본교 휴교는 수십년만의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영암미암중은 1979년 3월 1일 153명의 학생수로 개교해 지난 2022년 2월까지 3명 포함해 총 2100여명이 졸업했다. 이 중학교는 지난 2021년부터 2023학년도까지 신입생이 입학하지 않아 최종 휴교가 결정됐다.또 고흥영주고는 지난 1968년 3월 5일 영주종합고등학교로 개교해 1973년 영주고로 교명을 변경했다. 2022년 제52회 졸업생 14명(총 6500여명)을 끝으로 학생이 없어 교문을 닫았다. 휴교 결정 이후 3년동안 학생이 없을 경우 폐교 절차에 돌입한다. 전남지역 중·고교의 경우 지난 2018년 학교 통·폐합이 진행되면서 일부 학교가 문을 닫거나 섬지역의 분교가 폐교되는 사례는 있었다.이처럼 입학생 부재로 학교가 휴교하거나 폐교되는 사례는 예상된 일이다. 한국 출산율은 세계적으로 꼴찌수준으로 특히 고령화가 심한 농산어촌지역은 가임 인구 감소로 인해 학령 인구 감소가 현저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2021년 합계 출산율(가임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아이 수)은 0.81명으로, 홍콩(0.75명)을 빼고 전 세계에서 가장 낮았다. 학교와 같은 교육 인프라는 지역공동체를 유지하는 근간이자 구심점 역할을 하는데 초·중·고교가 사라지는 것은 곧 지역의 붕괴를 앞당기는 일이다. 정부는 인구위기특별위원회에서 실효성 있는 저출산 극복대책 마련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교육당국은 지자체와 머리를 맞대고 작은 학교 활성화 등 교육 인프라 유지와 개선 대책을 강구해 지역 소멸 방지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
![]() ![]() ![]() |
무단횡단 하던 폐지수집 노인, 차량에 치여 중상
'손자 사망' 급발진 소송서 운전자 패소…법원 "페달 오조작"
‘유튜버’ 감스트 “광주FC, 알 힐랄전 공격적인 모습 놀라웠다”
KIA타이거즈 5·18 홈경기… 올해부터 엄숙 대신 축제로
이천 물류 센터 화재… 대응 2단계 발령
5·18 국민 인식조사 응답자 34% “은폐·왜곡 등 규명 시급” (1보)
정청래 "특검·법원조직·헌법재판소법 처리"
12·29 제주항공 참사 유가족 72명, 15명 대상 고소장 제출
‘계엄 사태 공식 사과’ 김문수, 중도 확장 시동 걸었다
민주 "호남권 등 5대 초광역권 특별지자체 구성"
영암읍지사협, 취약계층 대문기둥 보수 봉사활동
목포어울림도서관, 가족 뮤지컬 '빨간 모자와 늑대' 공연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 평화비전스쿨 운영
강진로컬푸드, 봄맞이 기획전 전년비 매출 38% '껑충'
도농상생국민운동본부, 강진 녹향월촌마을서 쌀 요리 체험
무안군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검정고시 합격자 8명 배출
이천 물류 센터 화재, 약 6시간 만에 불길 진압
코레일 광주본부, 디지털 교육 ‘디지털 배움역' 시행
두암종합사회복지관, 제53회 어버이날 기념행사 성료
서구 동촌파출소 어린이 안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