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세대 의과대학 전경. 연합뉴스 |
31일 교육계에 따르면 가천대와 건국대, 계명대, 단국대, 대구가톨릭대, 아주대, 원광대, 한양대 등 의대가 등록 및 복학 신청을 마감한다. 이로써 4월 초 또는 중순까지 신청 기한을 연장한 강원대와 전북대를 제외한 38개 의대가 등록 및 복학 신청을 마치게 됐다.
앞서 ‘빅5’로 불리는 서울대와 연세대, 성균관대, 가톨릭대, 울산대를 비롯해 고려대와 충남대, 부산대 등 의대 휴학생들은 전원 복귀한 바 있다. 집단 휴학 사태도 끝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교육부가 지난 7일 3월 내 전원 복귀할 경우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는 발표를 내놨음에도 의대생들은 미복귀 휴학 기조를 유지해왔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 역시 지난 20일 40개 의대 학생 대표가 모두 이름을 올린 공동 성명서를 통해 적법하게 ㅈ출한 휴학원은 유효하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하지만 의대 학장 및 교수진의 간곡한 설득과 동시에 올해는 학칙대로 엄청 처분한다는 강경한 대응 방침이 겹치면서 의대생들 사이에서 변화 기류가 감지됐다.
실제로 가장 먼저 마감 시한을 맞은 연세대 의대생들이 등록한데 이어 서울대 의대생들도 복귀로 선회하면서 복학이 속속 이뤄졌다. 여기에 성균관대와 울산대, 가톨릭대도 합세했고 고려대와 충남대, 부산대 역시 전원 복귀했다. 복학 규모를 공개하지 않은 곳들도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전국 의대 복귀율을 취합한 뒤 입장을 발표할 전망이다.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 설정을 위한 전원 복귀의 기준은 100%가 아닌 정상적인 수업을 할 수 있는 수준이다. 다만 의대생들이 재휴학 또는 수업을 거부할 경우 정상적인 수업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가정할 가능성도 있다.
노병하 기자 byeongha.n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