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돈삼의 마을이야기> 나주 영산동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이돈삼의 마을이야기
이돈삼의 마을이야기> 나주 영산동
이돈삼/여행전문 시민기자·전라남도 대변인실
  • 입력 : 2021. 01.21(목) 11:05
  • 편집에디터

영산포등대-영산강의 수위를 측정하고, 배의 앞길까지 밝혔다 .

영산강이 품은 바다라고 '영산내해(榮山內海)'라 했다. 영산강이 바닷길과 통하던 시절의 얘기다. 그때 영산강은 자체로 바다였다. 그 바다를 통해 문물이 오가고, 다른 세계와 교류를 했다. 고려 때부터는 조창(漕倉)을 통해 물산이 한양으로 올라갔다. 일제강점기엔 나주평야의 쌀을 일본으로 빼앗기는 창구였다.

그곳이 영산포다. 지금의 나주시 영산동이다. 바닷길로 연결된 당시 영산포는 큰 포구였다. 일제가 나주와 인근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수탈해 가려고 목포, 군산과 함께 전략적으로 개발했다. 하루 수십 척의 배가 드나들었다. 자연스레 돈이 오가고 선창도 북적거렸다. 창고와 금융기관, 관공서, 요릿집이 즐비했다.

1972년 시작된 영산강유역 개발사업이 문제였다. 상류에 댐이 하나씩 생기면서 유량이 줄었다. 배가 다닐 수 없었다. 76년엔 영산강하구언 건설을 위한 둑막이 공사가 시작됐다. 뱃길이 아예 끊겼다. 휘황찬란했던 포구의 불빛이 꺼졌다.

그 시절에 불을 밝힌 등대가 지금도 영산강변에 있다. 일제강점기인 1915년에 세워졌다. 처음엔 일제가 강물의 높낮이를 재는 수위측정소로 설치했다. 수탈용 배가 안전하게 드나들도록 하기 위해서다. 5년 뒤엔 여기에 등을 달아 등대로도 활용했다. 영산강의 수위를 측정하고, 배의 앞길까지 밝힌 영산포등대는 우리나라 연안에 있는 유일한 등대였다. 영산포 홍어의 거리 앞, 황포돛배 선착장에 있다.

그때 그 시절을 엿볼 수 있는 근대거리도 남아 있다. 영산포등대 부근의 홍어식당 일대에서 세월의 더께를 느낄 수 있다. 옛 영화나 드라마 촬영지로 쓰인다. 영화 '장군의 아들'도 여기서 찍었다.

영산포 역사갤러리는 당시 영산포를 체계적으로 만날 수 있는 곳이다. 나주시가 옛 조선식산은행 건물을 고쳐 역사관으로 꾸몄다. 영산포의 역사에서부터 일본인 지주 주택, 식산은행 등 영산포의 건축물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준다. 큰 배가 지날 때 들어 올리는 개폐식 목교가 영산강에 있었다는 사실도 알려준다. 목교를 오가려면 통행료를 내야 했다.

영산포에서 삭힌 홍어 얘기도 빼놓을 수 없다. 영산강변의 공용화장실 입구에까지 홍어 그림이 그려져 있다. 홍어의 암수로 남녀 화장실을 구분해 놓았다. 남자 화장실엔 수컷, 여자 화장실은 암컷 홍어가 그려졌다. '홍어×'이란 말이 절로 떠올라 혼자서도 웃음이 지어진다.

홍어 한 마리 잡히지 않는 영산포가 삭힌 홍어의 본고장이 된 건, 두 가지 설로 전한다. 흑산도 사람들이 고기가 많이 잡히지 않는 겨울엔 육지에서 주로 생활했는데, 그곳이 영산포라는 얘기다.

또 하나는 고려 말에 왜구를 피해 섬을 비우는 공도정책과 관련된다. 바다에서 홍어를 잡고 살던 흑산도 사람들이 배를 타고 이주해 오는 동안 홍어가 변질됐다. 그것이 오늘날 삭힌 홍어의 출발점이라는 얘기다.

당시 흑산도는 영산현에 속했다. 영산현 사람들이 옮겨오면서 영산포가 됐다고 전해진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도 '나주사람들은 삭힌 홍어를 즐겨먹고, 탁주안주로 곁들여 먹는다'고 나와 있다.

삭힌 홍어는 특유의 냄새 탓에 좋아하고 싫어함이 명확히 갈린다. 홍어는 바다에서 물의 압력을 이기려고 사람보다 100배 많은 요소를 몸안에 지니고 산다. 이 요소가 숙성되면서 분해돼 암모니아를 발생시킨다. 이것을 사람이 먹으면 알칼리성으로 변해 살균작용을 한단다. 우리의 장을 깨끗하게 해주는 게 홍어다.

홍어음식은 삼합이 기본이었다. 요즘엔 코스요리로도 맛볼 수 있다. 홍어 무침으로 시작해 삼합, 튀김, 전, 찜 그리고 홍어애국까지 고루 맛본다.

납작하게 썬 홍어를 무, 미나리와 함께 빨갛게 버무린 홍어회무침은 예부터 남도 잔칫집에서 빠지면 안 되는 음식이었다. 미식가들이 즐겨먹는 삼합은 삭힌 홍어와 돼지고기 수육, 묵은김치의 조합이다. 날개살에 양념을 올린 찜은 부드러운 홍어 살맛을 느낄 수 있다. 밥과 함께 먹는 홍어애국은 부드럽게 속까지 달래준다. 요즘 같은 겨울에 더 맛있다.

일본인 지주 주택도 역사자원으로 가치가 있다. 당시 영산포에서 제일가는 지주였던 쿠로즈미 이타로(黑住猪太郞)가 살던 집이다. 쿠로즈미는 논밭 33만 평을 소유했다. 조선가마니주식회사 사장, 다시수리조합장, 전남영농자조합장을 맡고 있었다.

집은 쿠로즈미가 1935년 일본에서 목재와 기와, 벽돌 등을 들여와서 지었다. 마당과 정원이 넓고, 2층에 다다미가 깔린 방까지 전형적인 일본풍의 저택이다. 나주시가 2009년 사들여 노인복지관에 관리를 맡겼다. 지금은 전통찻집과 사무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옛 동양척식주식회사의 문서고도 있다. 일제가 우리의 토지와 자원을 수탈하려고 만든 회사가 동양척식주식회사다. 일제는 1909년 동척의 전라도 첫 사무소를 영산포에 열고, 농지를 빼앗기 시작한다. 영산포보다 목포가 더 번성하면서 동척이 목포로 옮겨가고, 문서고만 남았다. 지금은 붉은 벽돌의 문서고를 중심으로 주변의 정원을 활용해 찻집 겸 레스토랑으로 쓰이고 있다.

영산포에서 눈에 띄는 곳이 또 있다. 옛 영산포극장과 100년 넘은 영산포교회도 옛 모습 그대로다. '여인숙' 간판을 단 숙박업소도 아직껏 여러 군데 남아 있다. 일제강점기에 땔감을 팔러 온 인근 주민들이 죽 한 그릇으로 허기를 때웠다는 죽전골목도 애틋하다.

언덕 꼭대기에 있는 영산포교회에서 이 일대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잘 숙성된 홍어만큼이나 곰삭은 풍광이 펼쳐진다. 시간이라도 잠시 멈춘 것만 같다.

이돈삼/여행전문 시민기자·전라남도 대변인실

영산포등대-영산강의 수위를 측정하고, 배의 앞길까지 밝혔다.

영산포등대-영산강의 수위를 측정하고, 배의 앞길까지 밝혔다.

영산강변에 자리한 영산동 전경-영산교에서 본 풍경이다.

영산강변에 자리한 영산동 전경-영산교에서 본 풍경이다.

영산동 전경-언덕 위의 영산포교회에서 본 풍경이다 .

영산동 전경-언덕 위의 영산포교회에서 본 풍경이다 .

영산포갤러리 내부 -영산포의 이야기를 흥미진진하게 보여준다 .

영산포갤러리 내부 -영산포의 이야기를 흥미진진하게 보여준다 .

영산포갤러리 내부 -영산포의 이야기를 흥미진진하게 보여준다 .

옛 동양척식주식회사 문서고

옛 동양척식주식회사 문서고에서 탈바꿈한 영산나루-찻집 겸 레스토랑으로 쓰이고 있다 .

옛 동양척식주식회사 문서고에서 탈바꿈한 영산나루-찻집 겸 레스토랑으로 쓰이고 있다 .

옛 모습 그대로의 골목 계단

옛 모습 그대로의 골목 계단-한 할머니가 조심스레 계단을 내려가고 있다.

옛 모습 그대로의 골목 계단-한 할머니가 조심스레 계단을 내려가고 있다.

옛 조선식산은행 자리에 들어선 영산포갤러리-나주시가 옛 조선식산은행 건물을 고쳐 역사갤러리로 꾸몄다.

일본인 지주 주택-당시 영산포에서 제일가는 지주 쿠로즈미 이타로가 살았다 .

일본인 지주 주택-당시 영산포에서 제일가는 지주 쿠로즈미 이타로가 살았다 .

죽전골목-옛날에 땔감을 팔러 온 사람들이 죽으로 끼니를 때웠다는 골목이다 .

죽전골목-옛날에 땔감을 팔러 온 사람들이 죽으로 끼니를 때웠다는 골목이다 .

황포돛배 선착장-황포돛배는 바닷길과 이어지던 옛 영산포를 그려볼 수 있는 관광용 체험선박이다.

100년 넘은 영산포교회 전경-시가지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높은 언덕에 자리하고 있다 .

홍어의 거리-크고 작은 홍어집이 줄지어 있다

홍어그림이 그려져 있는 영산강변의 공중화장실

홍어그림이 그려져 있는 영산강변의 공중화장실-수컷홍어(남자용) .

홍어그림이 그려져 있는 영산강변의 공중화장실-수컷홍어(남자용) .

홍어그림이 그려져 있는 영산강변의 공중화장실-암컷 홍어(여자용) .

홍어그림이 그려져 있는 영산강변의 공중화장실-암컷 홍어(여자용) .

삭힌홍어-항아리에서 삭혀지는 홍어

삭힌홍어-손질이 끝나고 곧 포장될 홍어

삭힌홍어와 돼지고기

삭힌홍어

편집에디터 edit@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