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가 발생 77시간여 만에 완전히 진화됐다. 지난 17일 새벽 시작된 대형 화재는 광주 광산구 어룡동 일대를 짙은 연기와 분진으로 뒤덮으며 지역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다. 소방당국과 지자체의 총력 대응 끝에 불길은 꺾였지만, 이제 시작된 ‘이후’가 더 큰 문제다. 공장 복구와 주민 피해 보상, 고용 안정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하다. 무엇보다도 피해 규모 파악과 복구 일정이 불투명하다. 제2공장이 전소된 상황에서 금호타이어는 현재 보험에 가입돼 보상을 받을 수 있지만 실제 보상금은 손해사정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 2023년 한국타이어 대전공장 화재처럼 원인 규명과 공장 재가동까지 수개월 이상 소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미 생산직 노동자 2200여 명과 공장 내 외주 인력, 60여 개 협력업체가 타격을 입고 있다. 현재는 유급휴업 중이지만, 장기화될 경우 고용 불안과 생계 위협이 현실화될 수 있다. 지역경제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인력 구조조정 가능성까지 제기된다면, 금호타이어발 ‘고용위기’는 도미노처럼 확산될 것이다. 이에 광주시와 광산구가 ‘고용위기지역’ 및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정부에 요청한 것은 적절한 대응이다.
인근 주민들의 피해 역시 심각하다. 기침과 어지럼증을 호소한 인적 피해는 600건을 넘었고, 차량 그을음, 베란다 분진 등 물적 피해도 400건 이상이다. 현재까지 접수된 피해 신고는 1200건이 넘는다. 문제는 이 숫자가 계속 늘고 있다는 점이다. 주민 보상 기준과 절차, 시기 등이 조속히 확정되지 않으면 불신과 갈등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금호타이어는 광주의 대표 향토기업이다. 금호타이어의 위기는 단순히 공장 한 곳의 피해가 아니라 광주 전체의 회복력과 직결된다. 진정한 ‘완진’은 불길을 잡는 데서 끝나지 않는다. 복구 계획의 투명한 공개, 고용유지 대책, 주민 지원 시스템 구축, 협력업체 연쇄 피해 방지까지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불은 껐지만, 불안은 여전하다. 지금 필요한 것은 ‘정상화’를 향한 로드맵이 시급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