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악한 식량상황에서 상시 비축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식량안보 차원에서 중요한 과제다. 우리나라는 2022년 기준 곡물자급률이 22.3%에 불과하다. 주식인 쌀을 제외하면 보리쌀 자급률은 25.7%, 밀과 콩은 각각 0.7%와 0.8%밖에 되지 않는다. 식량 수급이 이 정도 취약하다면 진즉 정부 차원에서 식량비축을 중요한 국가사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발전시켰어야 한다. 선제적 대응이 충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늦었지만 정부가 현재 노후 비축기지 매각과 함께 권역별 대형화·현대화된 비축기지 신설을 추진하는 것은 옳다.
지리적·경제적 측면에서 전남에 설치 돼야 할 당위성도 많다. 당장 전남은 대규모 항만 인프라가 발달해 있고 국내 주요 곡창지대 중 하나다. 당연히 현지에 비축시설을 구축하면 생산과 수급, 비축의 효율적 연계로 유통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비축기지 건설을 통해 지역경제에 도움을 주고, 저장·물류 기술 혁신 또한 4차 산업혁명시대 식량 안보뿐 아니라 지역 간 격차 해소에 도움을 준다. 대형 시설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를 신재생 에너지와 연계해 지속가능성을 높인다는 의미도 크다. 최 의원의 지적처럼 ‘전남은 단순한 후보지를 넘어 전략 거점’인 셈이다.
효율적인 농산물 비축 역량 제고는 현 정부의 중점 추진 과제중 하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전남에 공공비축기지를 설립해 인구감소와 농촌소멸, 기후변화 등 대내·외 여건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전남도 또한 전남이 남부권 식량안보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공공비축기지 건립에 적극 나서야 한다. 공공비축기지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국가적 식량 자급률을 동시에 높이는 전략적 선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