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는 11일 무안군의 양돈농장 두 곳에서 구제역 발생이 추가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구제역이 발생한 농장을 중심으로 3㎞ 지역을 설정한 방역대 이동 제한 해제 검사 중 두 농장 축사 바닥에서 구제역 바이러스가 검출되자 가축을 정밀 검사했고, 그 결과 구제역임을 확인했다. 구제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해당 농장의 출입을 통제하고, 두 농장에서 사육 중인 돼지 5470두를 전체 살처분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올해 국내에서 발생한 구제역은 모두 16건으로 늘었다. 구제역 종식 선언을 앞두고 반경 10㎞ 방역대 내 해제 검사 중 두 농장 축사 바닥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됐고, 정밀검사 결과 12마리가 구제역에 무증상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23일 영암 한우농장에서 14번째 구제역이 발생한 후 19일 만이다. 국내 돼지 구제역은 2018년 4월 이후 꼬박 7년 만이다. 구제역이 첫 발생했던 1934년 이후 91년간 단 한차례도 발생하지 않아 청정 지위를 유지해온 전남에서는 사상 첫 돼지 구제역이다. 10여 차례에 걸친 한우 구제역에 이어 이번엔 소보다 바이러스 배출량이 최소 1000배에 이르는 돼지 구제역까지 터져 전남 축산 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무안 발생농장 3㎞ 방역대를 기존대로 유지하고 이동제한 기간은 3주간 연장했다.
전남 10개 시·군에 내려진 구제역 심각 단계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축산시장 개장도 보류키로 했다. 현재 개발된 백신의 경우도 소에는 효능이 높게 나타나지만 돼지에는 항체 형성률이 70%를 넘지 못하고 있다. 현재의 방역체계만으로는 구제역 바이러스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철저한 방역과 가축 사육환경 개선이 시급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