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 우주발사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 '탄력'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전남도
고흥 우주발사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 '탄력'
정부, 국무회의서 국가정책 결정
예타 면제 가능…관련 사업 속도
오는 2031년까지 1조6084억 투입
김영록 지사 "글로벌 우주항 건설"
  • 입력 : 2024. 06.18(화) 16:29
  • 오지현 기자 jihyun.oh@jnilbo.com
고흥 우주발사체 국가산업단지 조감도.전남도 제공
고흥 우주발사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이 국가정책사업으로 결정되면서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가 추진된다.

18일 전남도에 따르면 정부가 제27회 국무회의에서 ‘고흥 우주발사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안’을 국가정책사업으로 결정함에 따라 전남도의 관련 사업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공공기관운영법’에 따라 국가 정책적으로 추진이 필요해 국무회의를 거쳐 확정된 사업은 공공기관 예비타당성조사 면제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고흥 우주발사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안’은 우주발사체 부품·제조기업, 전후방 연관기업과 연구기관 집적화를 위해 지난해 3월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로 지정된 이후 약 1년여 만에 예타 면제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

고흥 우주발사체 국가산업단지는 국내 유일한 우주발사체 발사장인 나로우주센터가 위치한 고흥에 153만㎡(약 46만 평) 규모로 조성되며 지난 3월 입주협약을 한 11개 앵커·스타트업 기업과 국방과학연구소가 입주할 예정이다. 입주 기업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비츠로넥스텍, 이노스페이스, 세일엑스, 더블유피, 우리별, 파루, 동아알루미늄, 우나스텔라, 중앙이엠씨,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다.

전남도는 지난해 5월 국토부, 고흥군, 한국토지주택공사(LH), 전남개발공사와 국가산업단지 상생협약을 한데 이어 올해 4월 지자체와 사업시행사 간 기본협약을 하는 등 전방위적으로 노력한 결과 이날 국가산단 조성 예타 면제라는 결실을 보게 됐다.

전남도는 나로우주센터를 중심으로 정부로부터 2022년 12월 ‘우주발사체 산업 특화지구’로 지정되면서, 고흥에 민간발사장 핵심 기반 구축, 우주발사체 국가첨단산업단지 조성 등 8개 분야 24개 핵심과제를 발굴하고 2031년까지 1조6084억 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전남도는 지난해 민간 주도의 우주발사체 산업을 본격 육성하기 위한 ‘민간발사장 핵심인프라 조성’과 발사체기업 전주기 지원을 위한 ‘발사체 기술사업화센터 건립’ 등의 예타 면제에 이어 이번 우주발사체 국가산단까지 면제됨에 따라 앞으로 우주발사체 산업 클러스터 조성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향후 사회기반시설로 광주~고흥 우주고속도로(55.9㎞)와 고흥~나로우주센터 간 우주국가산단 연계도로(33.45㎞) 신설 등 산단 접근성과 기업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한 교통 기반 확충에도 박차를 가하는 등 고흥을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성장거점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김영록 지사는 환영문을 통해 “우주발사체 클러스터 구축사업에 이어 국가산업단지 조성안까지 예타 면제를 추진해준 정부에 감사드린다”며 “신속한 우주국가산업단지 조성으로 우주산업 연구개발, 발사체 제조·조립·발사 등 우주산업 전주기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주발사체 및 위성제작 기업과 핵심기반 시설을 집적화해 전남을 ‘글로벌 우주항’ 중심지로 건설하겠다”고 덧붙였다.
오지현 기자 jihyun.oh@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