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일보]취재수첩>우리밀 활용과 농가소득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취재수첩
[전남일보]취재수첩>우리밀 활용과 농가소득
조진용 취재2부 기자
  • 입력 : 2024. 03.24(일) 14:41
조진용 기자
무안산 밀로 만든 막걸리가 최근 소비자 입맛 공략에 나섰다. KTX목포역 인근 무안동 일원에서 1년째 주조장을 운영하며 밀막걸리를 생산하고 있는 밀물주조(대표 박세희)다. 이곳 주조장에서는 우리밀농협협동조합으로부터 무안산 밀을 수급받아 2개월 단위로 100㎏밀을 소비하고 있다.

통밀의 경우 껍질 성분 때문에 알코올 발효에 애로점이 있지만 밀물주조만의 전통 누룩 사용 등 자체 기법을 총동원해 밀막걸리를 빚어내고 있다.

지난해 11월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한 우리술 대축제에 첫 출전해 제품 라벨 디자인에 사용한 토종 바다사자 강치의 캐릭터를 활용한 마케팅과 남다른 제품력으로 소비자와 업계 관계자들의 호응을 끌어내며 탁주 시장의 새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정부는 매년 밀 자급률 계획을 발표 하고 있지만 국산 밀 자급률은 1%대에 그치고 있다

전국 경지면적 152만8237㏊대비 밀 재배면적이 1만600㏊는 0.8 수준이며 주로 전남·북과 경남이 주산지이다.

한해 밀 수입량이 식용기준 257만8646톤·40㎏마대 6000가마니로 한 포대에 4만원씩 환산시 2조4000억원에 달한다. 수입 밀을 국산밀로 바꾸면 2조원이 농민들의 수익으로 돌아가 농촌 지역경제에 보탬이 될 것으로 풀이된다.

2019년 8월 밀 산업 육성법이 제정돼 2020년 2월 시행됐지만 국산 밀 자급률 현 주소는 1%에 멈춰있다.

해외 밀 자급률은 어느정도 수준일까. 일본의 경우 자급률은 17%다. 일본 자급률 견인 핵심은 자국민의 가격 경쟁력이다. 밀 농가 직불금으로 1조4000억원을 편성해 1㏊당 600만원 이상을 지원한 결과물이다.

일본이 지불 예산을 확보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밀·보리 수출입을 민간 대기업이 수입하는게 아닌 국영무역으로 유지 했기 때문에 쉽게 밀을 수입한 뒤 판매 가격을 덧붙여 제분회사에 판매하면서 200%의 관세 부과 효과를 내고 있다.

수입산 밀의 경우 미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 여름에 경작을 하기 때문에 다량의 농약을 뿌려 재배하는게 보편적이다.

수입산 밀에 반해 국산 밀은 추위에 강하고 병충해 발생이 없다. 생산자와 소비자 간 이동 거리도 국내로 한정돼 있어 국민 먹거리에 안전이 보장된 셈이다. 정부 밀 산업 제17조에 농식품부 장관이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급식에 국산 밀, 가공품의 우선 구매를 요청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밀 자급률 1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밀 산업육성법을 토대로 밀 생산 농가와 소비자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이뤄져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