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일보]사설>원주민·이주민 ‘갈등’ 국가적 손실이다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설
[전남일보]사설>원주민·이주민 ‘갈등’ 국가적 손실이다
배려·존중 필요한 귀농·귀촌
  • 입력 : 2023. 09.11(월) 18:12
전남 농·어촌에서 귀농·귀촌한 이주민과 원주민의 갈등이 깊다고 한다. 얼마 전에는 보성에서 지속적인 민원을 제기 당한 축산 농장주가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베이비부머의 퇴직이 본격화되면서 인생 2막을 농촌에서 시작하려는 귀농·귀촌인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원주민과 이주민이 문화 차이와 이해관계 등에 따른 심각한 갈등이 잠재돼 있다니 안타까운 일이다.

전남도 등에 따르면 전남으로 귀농·귀촌을 선택한 도시인은 지난 2018년 2039명에서 지난해 2523명으로 늘어났다. 하지만 귀농인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모두 성공적으로 정착해 만족한 농촌생활을 누리는 것은 아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현재 농촌에서 사회 갈등이 가장 심한 집단으로 ‘귀농·귀촌인과 지역 원주민간의 갈등’을 꼽았다. 마을공동기금 명목으로 입주금을 요구하고 농작물에 쓸 물길을 막는가 하면 귀농인이 원주민의 문화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당장 10년 전 고흥에 정착한 한 귀농인은 마을로 이주할 때부터 ‘마을 입주금’이라는 명목으로 3000만 원을 냈지만 지금도 여전히 외지인 취급을 받는다며 억울해 하고 있다. ‘도와줄 때는 많지만 반대로 도움을 받은 적은 손에 꼽는다’는 게 이주민의 하소연이다. 귀농인이 제기한 민원을 놓고 해당 자치단체 공무원과의 마찰도 잦다. 수십 년, 마을 주민들과 문제 없이 지낸 농가에 대해 이주민이 민원을 제기해 생기는 분란도 심심치 않게 발생한다.

귀농·귀촌은 지방소멸을 눈 앞에 둔 농·어촌을 활성화시키는 소중한 존재다. 이주민에게도 귀농·귀촌은 인생 2막을 펼쳐나갈 희망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귀농·귀촌인이 농촌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소득향상을 위한 경제적 지원보다 더 필요한 것은 원주민과의 갈등해소를 위한 중재와 조정이다. 이주민과 원주민의 배려와 존중, 대화의 타협의 정신도 필요하다. 어렵게 귀농·귀촌을 결심한 도시민이 농촌생활에 실패해 도시로 되돌아가는 것은 지역은 물론 국가적 손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