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갯벌 복원 위한 ‘역간척’ 늦었지만 환영한다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설
사설>갯벌 복원 위한 ‘역간척’ 늦었지만 환영한다
가치 떨어진 간척지 복원 나서야
  • 입력 : 2023. 02.08(수) 17:48
식량 확보를 위해 메웠던 간척지를 다시 갯벌로 복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무분별한 간척이 생태계를 교란시켜 왔고 그 피해가 고스란히 지역민에 전가되고 있는 만큼 지금이라도 ‘역간척 사업’을 추진하자는 것이다. 장기적인 고민없이 근시안적으로 이뤄졌던 지금의 갯벌정책에 문제를 제기했다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크다.

8일 전남도의회 농수산위원회 정영균 의원은 전남도 해양수산국 업무보고에서 “1960년대부터 매립했던 간척지를 다시 갯벌로 복원하는 역간척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생태계 서비스 가치가 최소 17조 8121억 원에 달하고 생물다양성과 멸종위기 철새의 기착지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우리나라 갯벌의 효용을 감안할 때 전남도 차원에서 갯벌의 식생과 복원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해 신안 갯벌과 보성·순천 갯벌을 포함한 모두 4곳이 한국의 갯벌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됐다는 것도 이유다.

한때 식량 확보를 명분으로 갯벌을 메워 농지로 만드는 간척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됐다. 보존보다는 개발논리에 따라 수많은 갯벌도 사라졌다. 영광 옥산방조제부터 영산강을 거쳐 해남 고천암, 강진 도암만, 완도 약산, 광양만까지 천혜의 환경을 자랑하던 전남의 리아스식 해안도 대거 사라졌다. 전국 갯벌의 절반 가까이가 분포된 전남지역 갯벌 면적 또한 지난 1987년 1179㎢에서 2018년 1053㎢로 30여 년 사이에 20% 가량 감소했다. 바다환경이 변하면서 ‘바다 사막화’ 등 부작용도 확산되고 있다.

갯벌은 해양자원의 보고이면서 환경오염을 막아주는 완충지대로 중요하다. 어민들에게 ‘소중한 생명줄’이면서 생태관광지로서의 가치도 무한하다. 그렇다고 현재 만들어진 방파제를 모두 파헤칠 수는 없는 일이다. 비용이 너무 많이 들고 현실성도 떨어진다. 정부와 전남도는 면밀한 조사를 거쳐 효용가치가 떨어진 간척지부터 원래 상태로 복원하는 ‘역간척’에 나서야 한다. 갯벌은 더 이상 개발의 대상이 아니고 자연 그대로 보존해야 할 소중한 유산이다.